소설처럼 - 우리시대의 지성 5-016 (구) 문지 스펙트럼 16
다니엘 페낙 지음, 이정임 옮김 / 문학과지성사 / 2004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이 책의 첫 번째 문장에서처럼 ‘읽다’, ‘사랑하다’,‘꿈꾸다’라는 단어에는 명령문이 먹혀 들어가지 않는다. 명령조로 말할 수도 있으나, 그렇다면 누구나  거부반응을 일으키게 될 것이다. 마찬가지로 ‘책읽어!’ 라는 명령은 오히려 책에 대한 거부감만 생기게 될 것이다. 다시 말하면, 이 책에서 지적 하듯이 우리들은 강요된 책읽기로 인해서 책에 대한 두려움과 거부감을 가지게 되었다는 소리가 되는 거싱다.  책에 대한 중요성은 날이 가면 갈 수록  커지고 있지만  우리네 교육현실은 오히려 아이들을 책에서 떨어지게 하고 있다.

 

 수 많은 사람들이 책읽기를 강조 하며, 책을 안 읽는 아이들과 그런 아이들의 눈을 뺏어 버리는 미디어 탓만 하고 있는 것이다. 그들의 교육방법이 문제가 되고 있다는 사실은 전혀 눈치 못하고 말이다. 그들이 책을 읽는데 있어서 중요한건 진급과 선생님의 마음에 들도록 해석하고 주석을 붙이는 것 뿐이다. 그런 강요가 아이들에게는 책을 이해 못할 것 같은 두려움과 지루함에 빠져 들게 한다. 이런 교육현실에 대한 해결책을 다니엘 페냐크는 아이들에게 책을 읽어 주라고 한다. 그리고 읽어 주고는 어떤 질문에 답을 강요하지 않는다!. 단, 아이들이 질문하는 것만 답해 주라는 것이다. 그렇게 되면 자연스레 책 읽기의 즐거움을 알게 되어 아이들은 다시 책을 읽기 시작 하게 된다고 말한다.


 이렇듯 우리와 상당한 거리의 차가 있는 프랑스 역시도 책을 읽지 않는 아이들의 문제가 되고 있고, 그 문제의 원인 가운데는 학교교육에 있어서의 (그리고 부모들에 의해서)책 읽기의 강요에 있다는 것 역시 유사하다. 우리네도 수능을 대비한 단편소설의 헤제와 논술에 대비하기 위한 도구로서의 역할 밖에 하지 못했다. 소설을 소설이 아니라 문제로 하나의 기능적 역활 밖에 보았던 것이다. 하지만 그런 방법은 ‘책’ 이란 괴물 밖에 키어내지 못했다. 이러한 문제에 대해서 앞에서 말한 것처럼 다니엘 페냑은 아이들에게 ‘읽어주라’라는 조언을 해주고 있다. 나이가 대학생이던, 초등학생이든 나이는 중요하지 않다. 책 읽어 주기를 통해서 아이들과 책 간의 오해를 푸는 것이다. 그리고 그것에 대한  효과를 몇 가지 사례를 들어서 소개 시켜주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오해를 풀고 나서도 지속적으로 책을 읽어 나가기란 쉽지 않다. 많은 과제와 시간을 요하는 일들에 부딪치게 되기 때문이다. 그래서 현대인들은 시간에 치여서 독서를 못한다고 말한다. 하지만 다니엘 페냑은 사랑에 비유하면서, 독서 역시도 의무에서 시작되는 것이 아니라 무상의 행위이기 때문에 효율적인 시간 운용이라는 사회적 차원과는 거리가 멀며, 독서역시도 사랑과 같이 그저 존재하는 방식이며 중요한 것은 독자에게 시간이 없느냐 있느냐가 아니라 독서의 즐거움을 누리려는 마음이 있었냐는 것이다. 이렇듯 독서는 언제든 즐길 수 있는 행위이다. 자신이 ‘즐길’ 마음만 있다면 말이다. 그런 점에서 뜨금 할 수 밖에 없고 좀 더 즐거움을 되찾기 위해서 노력해야겠다는 생각이 든다!.


 이처럼 책은 기존의 강요된 독서교육과 책을 읽을 시간 부족에 대한 사람들의 생각에 대가를 바라지 말라고 한다. 어느 누구도 어떤 질문을 강요할 권리는 없다는 것이다. 효과적인 전략이나 선생님들이 원하는 해석을 요구할 권리는 어느 누구에게도 없다. 오직 자신의 권리에만 있다. 이렇듯 다니엘 페냑은 독자에게 10가지의 권리를 말한다.

 

 첫 번째는 ‘책을 읽지 않을 권리’  이것은 책에서도 언급되었듯이 많은 사람들이 행하고 있는 권리이다. 이런 것들을 보면 작가인 다니엘 페냑은 정말 순수한 열정과 영혼을 가진 이 같다. 작가인 자신이 독자에게 책을 읽지 않을 권리도 있다고 하는 것이 말이다. 전체 텍스트를 포괄하는 느낌이지만, 작가로서의 권위를 전혀 내세우지 않는다. 오히려 이런 글을 통해서 독자에게 책을 읽지 않을 권리도 부여해주기 까지 한다. 아무래도 작가의 어린시적에 영향과 20년 동안의 교사로서의 경험이 축적되어서 그런 지혜가 나온 것일까 하는 생각을 해본다. 그리고 건너뛰며 읽을 권리, 끝까지 읽지 않을 권리, 다시 읽을 권리, 아무 책이나 읽을 권리 보바 리즘을 누릴 권리, 아무 데서나 읽을 권리군데군데 골라 읽을 권리, 소리 내서 읽을 권리 ,읽고 나서 아무 말도 하지 않을 권리 등을 말하고 있다.

 

 다시 다니엘 페냑은 책은 강요될 수 있는 것이 아니며, 의무의 성격 같은 것도 없다고 이 권리를 통해 말하고 있다.  지금 현 교육방식처럼 책을 그 자체로 받아 들이는 것이 아니라 하나의 문제, 목적, 기능으로만 받아들여지는 이상은 책에 대한 아이들을 두려움은 커지게 될 것이고, 결코 책과 가까워 질 수 없게 된다. 이런 상황에서 책의 중요성을 강조 한다는 것은 무의미한 일이고 답답한 일이 될 것이다. 어느하나 구체적인 계획이 없었다.그런 점에서 이책은 명쾌한 답을 보여주고 있다. 답은 아주 간단한 것들이다. ‘대가를 바라지 말고 책을 읽어 주라! 그리고 소설을 소설처럼 읽어라!’  이렇게 순수하게 책이 읽는 것 자체가 목적이 되고 행위가 될 때 책에 대한 두려움은 사라지게 될 것이다.


댓글(3)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가넷 2006-05-26 23:5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엄청 공감가던 거라서 써봤는데, 영 이상한데... 메모 좀 해둘걸 그랬다. 문든문득 떠오른게 있었는데..;;; 막상 적을려니까 다 잊어 먹었다...;

프레이야 2006-05-27 00:4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좋아하는 작가. 전 이 책 사두고 아직인데요.. 님의 리뷰 잘 읽었습니다..

가넷 2016-12-11 21:20   좋아요 0 | URL
감사합니다. 음... 10년전에 답글을 안 달았었네요.

2년전에도 한번 읽었는데 좋았습니다. 이때 이 작가의 다른 작품도 읽어볼까 했었는데 왜 그런 건지 이 책외에는 작가의 작품을 읽은게 없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