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튜 리들리의 <이타적 유전자>를 읽고 있다. 생각보다 재미있고 쉽다. 생명과학의 이야기를 담았다기 보다는  이타주의에 대한 이야기라고 보는게 정확하겠다. 저자의 본령이야 과학저술가 이기 때문에 가장 핵심은 생명과학의 이야기에 속하는 것이 맞겠지만.  이 책의 존재를 알게 된 건 대학생 1학년인가 2학년때 교양강좌에서 교수님이 본인이 재미있게 읽은 책을 소개하면서다.  전날밤에 밤새워 읽었다고 하셨던가.  하여튼 너무 정말 재미있게 읽은 듯 약간 흥분을 하시길래 어떤 내용인가 궁금했었다.  지금 생각해서 보니 그때 바로 읽었다면, 쉽고 재미있는 책이긴 해도 몇장 못 읽었을 것 같다.  그 교수님은 참 수업에 집중을 해주시는 교수님이셨는데 아직도 인상에 남는다(학과 교수님 제외하고는 유일하게 기억하는 교수님이다.). 불문과에 계시는데 기호학이 주전공으로 알고 있다.


  책을 읽으면서 새로운 관점, 아니 뭐 새롭지는 않더라도 최소한 나에게는 새로운 생각의 전화를 가져다 주는 이야기들이다. 사회가 냉혹한 곳이라는 건 분명하다. 하지만 협동,협력등이 없다면 사회가 구성되지 않으며, 우리 사피엔스를 제외한 다른 생명에게도 마찬가지로 필요한 것이다. 생명 탄생의 순간에서부터 협동은 시작된다. 물론 그 가운데서도 이기적인 행동등이 보이기도 한다. 대표적인 것이 모체-태아의 관계이다. 태아는 모체 혈액을 태반에 공급하는 동맥속으로 태아의 세포가 침입해 동맥 벽에 자리잡아 그곳의 근육을 제어하여 자신의 이익을 극대화 하려 한다. 임신합병증으로 드물지 않게 고혈압등이 생기는 것도 그때문이라고 한다.  혈당등도 마찬가지로 태아의 조종을 받는 태반이 최유 호르몬(hPL)이라는호르몬의 생산량을 매일 증가시키는 방법으로 인슐린의 작용을 억제하여 모체의 혈당조절하는 능력을 제어한다.(인슐린은 혈당량을 낮춘다.). 그런데 재미있는 건 태아가 생산하는 hPL의 호르몬이 아버지에게서 온단다.   


그외 선물이라는 것의 성격 또한 다시 생각해본다. 사실 선물이 뇌물과 다르지는 않다. 저자의 말대로 정말 이타주의자라면 선물을 하지 않고 받지 않는 자일 것이다.  선물은 어떠한 의도가 개입된 것이고, 누군가에게 선물을 했다면 그에 비슷한 수준의 선의를 받기 원할 것이다.  대부분 무언가를 준다고 마케팅 하는 것은 이런 부채감을(대도시에서라면 덜하지만, 인간관계가 협소한 시골등에서는 평판,신뢰등이 사회생활을 하는데 너무나 중요하므로)조장하는 것이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파이버 2020-10-18 21:4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정말 이타주의자라면 선물을 하지 않고 받지 않는 자일거라는 말이 신선하네요. 이타적이라는 말의 의미에 대해 다시 생각해보게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