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풍이라는 단어는 참 낭만적이다
직장인들은 햇살이 유난히도 따뜻한 날이면
아~ 소풍가고 싶다~! 를 외치곤 한다
그런데 생각해보니 그렇게 낭만적인 소풍
그러니까,
1. 김밥 싸 들고
2. 자연과 함께하며,
3. 즐거운 담소를 나누며
4. 한가로이 보내는
소풍을 갔던 적은 나 역시도 몇번 되지 않는 것 같다
4호선라인의 서울랜드와 서울대공원을 번갈아가며
중학교 이후의 소풍은 거의 그렇게 점철되어 있고
여기저기서 소풍 온 학생들로 난장판이 된 놀이공원에서
악다구니를 쓰며 놀이기구를 탔던 것 외에
기억나는 것은 아무것도 없다
꼭 한 번 기억에 남는 소풍이 있다
고등학교 2학년 때, 반별 자치소풍이라는 걸 했었는데,
우리 반은 그 때 기차를 타고 강촌으로 소풍을 갔었다
그게 대학생들에게는 아무것도 아닌 것일 수 있겠으나,
대학생들을 동경하는 고등학생들에게는
매우 특별한 경험이었고
그 날의 장면장면은 10년이 흐른 지금도 (헉, 정말 10년?)
참 행복한 일상으로 남아 있다
아침 출근길에서
악다구니를 쓰며 지하철에 오르는 학생들을
봄, 가을, 1년에 두번, 일정 기간동안 만나게 된다
늘 말하지만,
서울랜드 가는 지하철을 타고 출근하다가
롯데월드 가는 지하철로 갈아타는 나로서는
이 기간이 정말 지옥이다
그렇게 매년 만나도,
만날 때마다 참 만감이 교차한다
처음에는 출근시간에 대한 배려,
그리고 그 시간에 지하철을 타야 하는 아이들의 불편함에 대한 배려가 없는
학교와 선생님들에게 화가 났지만
나중에는 매년 변함없이. 정말 소풍 장소를
이/렇/게/밖/에/못/정/하/는!
선생님들과 학교에 화가 난다
조금 더 고민해보면
아이들과 즐겁게 시간을 보낼 수 있는 방법은
얼마든지 있을텐데,
이렇게 매년, 소풍이랍시고
아직 경험하지 않아도 될 지옥같은 출근 지하철을 경험하며
인공적인 랜드와 위험한 월드로 몰려가는 아이들은
2006년의 소풍과 2007년의 소풍을 구분해 기억하지 못하겠지
내 아이가 소풍을 갈 때쯤은
소풍이 좀더 소풍다워지길
PS
강북으로 출근하는 친구는 청계천 소풍가는 학생들 때문에 곤혹을 치른단다
도무지 이 개성없음이란 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