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도 바울 - '제국'에 맞서는 보편주의 윤리를 찾아서 What's Up 1
알랭 바디우 지음, 현성환 옮김 / 새물결 / 2008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장기간에 걸친 공산주의 독재는 금융 자본의 전 지구화와 자본의 공허한 보편성의 절대 주권은 또 다른 보편적 계획 - 비록 타락하고 피투성이이긴 하지만 - 만을 진정한 적으로 가졌었다는 것을 보여주는 미덕을 가졌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런 문장은 재앙이다. 

당췌 무슨말을 하는지 알수가 없다. 그런데 책 대부분 이런 문장이다. 

프랑스 철학을 읽고 다시는 읽지 말아야지, 라고 굳게 다짐한것이 한두번이 아니건만 

이번에는 사도 바울이라서, 바울이 사상가이자 시인이고 투사라고

레닌과 볼셰비키를 있는 조직하는 투사의모습을 바울에서 본다기에 

혹해서 읽다가 울컥, 짜증난다.


바울을, 모호한 마르크스를 그리스도로 삼은 레닌에 비교하는 위태로운 시도를 행하는 것은 내가 처음이 아니다. 

무슨말인지 알겠다. 그러나 문장을 왜 이렇게 쓸까. 


파솔리니에게 바울은 사회적 불평등, 제국주의, 노예제도에 기반한 사회 모델을 혁명적으로 타파하려는 사람이었다.  

바울이 창조한 것은 교회, 조직, 당이다. 그래서 레닌에 비견된다. 

알랭 바디우는 조직혁명가로 시대를 초월하여 보편성을갖고 있는 텍스트로 바울을 읽는다. 

그러나 바울은 결코 이따위 엉터리 문장으로 해석되길 바라지 않았을 것이다. 

그의 텍스트가 보편성을 갖을수 있었던 가장 기본적인 조건은 평이한 언어의 쉬운문장이었다. 


못알아듣는 말로 짓걸이는 진리에 염증이 나서 미련없이 알랭 바디우를 덮는다. 

다시는 프랑스 철학에 속지 말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