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괴된 사나이 - 새번역판 그리폰 북스 6
알프레드 베스터 지음, 김선형 옮김 / 시공사 / 2003년 12월
평점 :
품절


1.
재밌다.
파웰과 라이히 두 중심인물이 매력적이다.
현실세계의 부와 권력을 갖고있어 거침없고 거기에 체력도 좋은 라이히와
똑똑하고 재치있고 사려깊은 에스퍼 파웰
스토리의 전개는 매우 빠르고 다음장면이 궁금한데 예측하기 어렵다.
책장을 넘겨 읽고나면 대략 앞선 복선과 암시의 인과관계 성립에 무리가 없다.
두사람을 축으로해서 여러등장인물들이 모두 개성적이다.
눈으로 보는것 같아.

에스퍼의 능력이란것이 순간이동이나 폭력적이고 무시무시한 힘이 아니라
단지 다른사람의 마음을 읽는것인데
심지어 본인도 잘 모르는 심층의 마음까지도 읽는다. 

나도 모르는 내마음을 읽는 타인이라니.
이런 사람이 있으면 나도 좀 상담하도 싶어.
내 마음을 읽어주삼. 나는 내가 왜 이런지 모른다오. ^^

다만 베스터 이자도 마초네.
바바라의 캐릭터는 많이 억지스럽다. 변종 롤리타의 느낌은 생뚱맞다.
얼마전에 상욱이가 페미니즘계열 SF도 읽어보라더니
찾아서라도 읽어서 균형을 좀 맞추어야 겠다.

이정도 스케일의 상상력과 창조력은 부럽다.


2.
마무리의 '파괴'는 김빠진다.
정신없이 빠르게 몰아쳐가다가 갑자기 서둘러 마무리하는데
착하고 좋은게 좋은거라고 맹탕처럼 끝낸다.
마무리가 김빠진다. 머 이래.

더욱이 변형 롤리타에 하이틴로맨스 마무리다. 참 편리하고 쉬운.
특히 그와 그녀의 사랑은
착한 딸처럼 '네' 하고 그의 말을 잘듣는 섹쉬한 그녀가 행복하다니, 내참.

앞부분에 비해 마무리가 쫌 거시기하지만 그래도 재밌다.
어제 새벽 4시까지 읽어버렸다.
오늘의 일정을 무시한 이런 독서삼매경은 일종의 사고다.


3.
우리나라의 정서에 SF는 너무 다체로와서 가볍고 요란해보이는 빛이 아닌가.
나는 이 빛이 좋아졌다.
올해는 SF를 발견해서, 기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