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스카 와오의 짧고 놀라운 삶
주노 디아스 지음, 권상미 옮김 / 문학동네 / 2009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1.    
미워할 수 없는 가족들. 살려고 부유하는, 옮겨심어지는 나무
기를 쓰고 살아야하는


2.
영어를 쓰다가, 영어올 말하다가
절규할때, 저주할때, 놀랄때 모국어로 말한다.
그언어가 노래처럼, 탄식처럼, 마치 감탄사처럼 그리고 그녀와 그의 삶 그자체인듯이
파도처럼 운율이 느껴지는 것이 놀랍다.
극적인 순간에 말해지는 모국어의 효과가 뛰어나다.


3.
리얼함이 있다.
시끌벅쩍 하지만 냉소적이고 무시하고 성내고 기죽이는 가족
고단하고 외로운 서로의 삶을 너무 잘 알아 안아주지 못하는 가족 그런데
이런 가족이 사실이다. 저하나 살기가 숨이 턱에 차서

다만 미국의 대중문화가 너무 많이 날것으로 씌어저서 읽는것을 방해한다.
니네나 알지. 나는 모르고 알고 싶지도 않다.
도미니카를 떠나왔지만 그렇게 목숨걸고 나와서 이제 미국의 중심에 산다고 말하고 싶니?


4.
오히려 중요한 것은 문체다.
우리가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글'은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말'이 아니다.
교육 받은 자만이 말과 다르게 글을 쓸 수 있다. 실은 이것 또한 권력이다.

주노 디아스는 그 문체를 파괴한다.
저속하고 비천한 자들이 쓰는 말과 문화를 그대로 거침없이 사용한다.
그것은 저속하고 비천한 자들에 대한 존중이고 그들의 삶에 대한 존중이다.
존중받아 마땅하다고 그는 말한다. 문체로.
교양있는 척하며 위선떨지 말라고 그가 말한다.

삶이란 사는 그 자체라고.
위선을 벗기고 한점 다른 의미를 부여하지 않아도 그자체로 이미 완성되어 있다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