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요일, 랍비는 늦잠을 잤다 동서 미스터리 북스 135
해리 케멜먼 지음, 문영호 옮김 / 동서문화동판(동서문화사) / 2003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1.
미국 중산층 유대인 동네, 엄청 보수적이고 수다스럽다.
평범한 사람들의 일상에 대한 관찰이 뛰어나다.
소박한 사람들 털면 한웅큼씩 먼지가 나고 뒤에서는 서로 손가락질도 하고
하지만 얼굴보면 친근하게 인사도하고 정중하게 걱정도 해주는

잘날것도 모자랄것도 없는 사람들의 일상안에 
도사리는 질투와 부끄러운 눈빛 은밀한 감정들
독하지 않고 순하게 날마다 사는 그런 날의 하루처럼 편안하게 보여준다.
그것이 장점이다.


2. 
유대의 랍비들은 매우 훌륭한 철학자들이다.
성서가 그렇고 불교의 교리가 그런것처럼 
탈무드 또한 수천년동안 유대인의 종교로 선택되어 인민들과 부대끼며 살아온 지혜가 있다.
그런데 왜 유대민족만의 종교일까?

서양의 종교들은 유일신이라 그런가 오만하고 건방지다는 느낌이 강하다.
참략전쟁을 위한 논리로 기꺼이 호전적인 논리를 제공한 피묻은 기독교와 카톨릭
유대교가 그렇지 않다고 어떻게 말할수 있냐구. 
팔레스타인의 무장하지 않은 동네로 이스라엘의 폭탄이 퍼부어지는걸
전쟁으로 생존의 의미를 찾으려는 이스라엘의 유대인들 때문에
책 읽는것이 자꾸 방해를 받는다.

현명하고 재미있는 유대 철학과 문화를 자꾸만 파괴되는 팔레스타인을 생각하며 보려니, 쩝. 


3.
이외에도 랍비 씨리즈가 요일별로 더 나와있다는데 안타깝게도 더 번역되어 있는것은 없다.
내 감성에는 체스터튼의 브라운 신부보다 케멜먼의 데이비드 스몰랍비가 더 재밌구만.
브라운 신부는 겸손한데 체스터튼이 워낙 잘난척을 해서.

토요일과 일요일의 랍비가 보고 싶다.


4.
덤으로 로스맥도날드의 미드나이트 블루라는 짧은 단편이 붙어있다. 
짧은 호흡의 단편을 좋아하지 않는데,
요렇게 순진하고 어설픈 랍비탑정뒤에 단맛쓴맛 다아는 능숙한 루 아처를 보는것도 좋네.
여전히 루 아처는 하루종일 부지런히 돌아다니면서 묻고 듣고 다시 묻는다.
이 마을은 어쩌면 이렇게 사람같은 사람보다 돼지 같은 사람이 더많을까.
고생이다. 루.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