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누비스의 문 1 - 털에 뒤덮인 얼굴
팀 파워즈 지음, 이동현 옮김 / 웅진지식하우스 / 2007년 9월
평점 :
절판


1.
환상문학, SF문학은 특히 상상력의 자유로움이 힘이다.
또한 상상력은 늘 진보의 편이다.
현실이 바뀌지 않기를 바라는 보수가 어찌 자유로운 상상의 힘을 지지할 수 있을까.

환상문학에 재미를 붙여가고 있다. 재밌다.  

 
2.
시간여행은 오래된 꿈이다.
달나라 여행이 현실이 된 인류에게 시간여행이라고 불가능할 이유가 없다.

나는 시간여행을 할수 있다면 어디로 가고 싶을까?
바람부는 징기스칸의 대륙이거나 클레오바트라의 궁전이거나 아니면
1917년의 러시아로 가서 혁명군의 대열에 동참해볼까? ㅎㅎㅎㅎ

굳이 19세기로 가서 뒷골목으로 가네. 팀 파워즈는. ^^


3.
달걀껍데기로 만든 배라니, 재밌는 생각이다.
거지들의 왕 호러민과 덩이는 불쌍하고 귀엽다.
주류에 포함되지 못하는 자들의 외로움과 그것을 이겨낸 자들의 교활함
다양한대 깊이는 없다.

도일의 무능함에 비해 재키의 재기발랄함과 유능함이 빛난다.
도일은 뭐하나 할 줄 아는게 없고, 판단은 느리다. 멍청해.
자유롭게 헤엄치듯 런던의 뒷골목과 지하세계에서 모험하며 노는 것은 재키다.


4.
아기자기하고 재밌다.  
적절한 시기에 반전과 새로운 사건과 연결되고
호흡히 길거나 장대하다는 느낌이 아니고
시시콜콜 재미있는


5.
시간과 공간을 너무 자주 왔다 갔다해서 정신없다.
SF의 여러가지 상상력이 짬뽕되어 있는데
스펙타클이 너무 강조된 영화는 산만해서 정신없는 경향이 있다.
졸지않고 영화를 보긴 봤는게 극장을 나오며 뭘봤지? 그런느낌
아누비스의 문도 그러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