헝그리 플래닛 - 세계는 지금 무엇을 먹는가
피터 멘젤 외 지음, 홍은택 외 옮김 / 윌북 / 2008년 3월
평점 :
품절


1.
서문을 보면
오늘날 지구상에 약 10억명의 인구가 식량부족으로 일상적인 고문에 시달리는데
그중 절반이 어린이란다.
지구인이 먹을 수 있는 것보다 많이 생산하는데, 공평하게 분배되지 않아서.
몇억명의 사람들이 영양부족에 시달리는 반면 몇억명은 너무 많이 먹어서 비만에 걸린다고.


2.
세계 각국 한가정의 일주일치 식량에 대한 책이다.
다른 것이 아니라 먹는 것을 비교했다.
부자도 가난한 자도 먹어야 산다.
인간에게 꼭 필요한 먹는것을 비교함으로써 더욱 쉽게 문화와 생활과 불평등을 확인할 수 있다.
불평등을 강조하지는 않았다.
사실 그대로 보여준다.
가난한 아이들도 일주일치 음식들 앞에서 가족들과 함께 카메라를 보며 웃는다.
그냥 세계의 이곳저곳 사람들이 일주일동안 먹는 음식의 재료와 먹는 음식을 장만하는 방식
과거에는 무얼먹었고 지금은 어떻게 변화했는지를 보여준다.


3.
피터는 사진을 정말 잘 찍는다. 우연은 없다.
1주일치 식재료만 찍어도 되는데, 그집 부엌에서 가족모두와 함께 식재료를 찍었다.
예를 들면 선진국, 유럽의 나라들이 재료의 양이 많고 인스턴트가 많고 사람들이 뚱뚱하다.
그들은 편리한 부엌의 식당에 있다.
난민촌 가족은 부엌이 없다. 천막 옆에 땅바닥에 화로가 있다.
그 바닥에 엄마와 아이들이 곡물을 중심으로 앞에 놓고 무표정하게 카메라를 본다.

피터는 먹거리를 통해 다 보여주고 싶어한다.
사람들, 의 삶과, 그 속의 이야기, 생활을 들여다보고 싶어 한다. 는 느낌.

피터의 현장노트도 재밌고.

잘만들어진 세계 먹거리 지도 화보집이다.
글이 많을 이유가 없고. 다 읽지 않아도 된다.

그래도 268p의 마이크 폴란의 에세이 얼굴을 가진 음식은 꼭 읽어야 한다.
미국 사육공장에 대한 예는 경악스럽다. 아무리 돈버는게 최고라는 자본주의지만
동물을 그런방식으로 학대하며 사육하는 것은 인간 영혼의 문제이기도 하다.


4.
그러고 보니 한국은 풍요로운 쪽이다.
주린 배를 무엇으로든 채워야 하는 쪽이 아니라
음식을 조절해서 잘 먹어야 하는 쪽이다.  

음식을 잘 먹어야 할 뿐 아니라 분배도 잘 해야 한다.
나의 비만이 누군가의 굶주림을 외면해서는 안되지 않겠는가.

선명한 칼라 사진들이 매우 서정적이라고 나는 느낀다.
100점짜리 인류학 화보집.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