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하광인 - 상 - 백탑파白塔派, 그 세 번째 이야기 백탑파 시리즈 3
김탁환 지음 / 민음사 / 2007년 9월
평점 :
구판절판


1.
백탑파 세번째 이야기.
앞의 두 이야기에 즐거웠던 나는 천천히 읽었다.
소설의 이야기 구조로 보면 두번째 열녀문의 비밀이 가장 좋았다.


2.
75p
박지원은 황하와 장강과 더불어 천하에 세가지 큰물에 속하는 압록강을 건넌 후 처음 요동벌판을 마주하고 '통곡하기 좋은 장소로구나! 울어 볼만 하구나!'라고 적었다.

통곡하기 좋은 장소. 울어볼만 한 곳.
웃어볼만한 곳이야 어디엔들 없으랴.
울음이 문제지. 맺히고 풀리는.
역시 매력적인 박지원이다.


3.
화자가 말이 많아 졌다.
실망할 정도는 아니지만 두번째 백탑파 보다 못하다.
뭐랄까. 조선후기 아웃사이더 지식인들이 미친듯이 학문을 탐구하며
우정을 나누는 캐릭터의 맛이 많이 떨어진다.
김진이나 백동수 없는 이명방은 너무 심심하다.
'문체'로 인한 정조와 박지원의 승부로도 부족하고
열하일기로 알수 있는 호방한 박지원의 풍모도 찾을 수 없다. 아쉽다.
김탁환의 문체는 더많이 옛것을 닮아가는데
소설 소재의 향과 맞을지 모르나 읽는데 거슬린다. 굳이 그럴필요가 있을까.



4.
백탑파, 이 사람들에게 열하는 나에게는 공산당 선언 같은 것이구나.
그 책을 읽기 전과 후의 인생이 바뀌게 하는 책.
심장이 떨리고 마치 폭포가 몸을 관통하고 번개가 머리를 날카롭게 치고 가는 느낌
그러니 정조가 탄압을 하지

그로부터 15년이 흘렀다오.
그래, 그런 시간이 지나면 늙기도 하지.
이명방도 관직에 오른 백탑의 서생들도 늙었다.
김탁환도 그러한가.
문체가 너무 번거롭게 하고 거슬린다.


5.
문체 때문에 '자송문'을 쓰라는 것은 일종의 '사상전향서'를 쓰라는 거겠지.
학문을 하는 자가 할짓이 아니다.
그것을 쓰는 것도, 쓰라고 명하는 것도.

예나 지금이나 권력은 인민의 사상까지 통제하고 싶어한다.
김탁환은 정조도 이해하고 싶은 모양인데, 나는 싫다.
이명방의 소설쓰기가 이제 끝났다해도
김진을 주인공으로 하는 추리소설은 여전히 기대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