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신은 장애를 아는가 / 김도현 / 메이데이

1. 
고백하건데 나는 장애를 모른다. 

생산수단을 소유하지 못했다는 이유로 임금노동자로 살며 착취당해야 하는 사회 시스템이 가져오는 폭력과 야만이 싫고, 더많은 이윤을 위한 자본의 욕망이 더 많은 착취를 감당하라고 노동자들에게 요구하는 뻔뻔스러움이 싫다.

모든 사람이 평등하게 사는 것이 무엇인지 모르는 나는 적어도 임노동과 자본의 모순으로 인한 인간소외와 불평등은 사라지는 사회를 만들고 싶고 투쟁하고 있다. 그 투쟁의 과정이돈을 목표로 굴러가는 자본주의 사회를 극복하는 과정이므로 그저 막연하게 여성, 민족, 그 외 온갖 차별받아온 소수자들이 자기권리를 찾는 과정과 함께 할 거라고 생각해 왔다.

그러나 먼미래 아닌 지금 현실에서 차별은 구체적이며, 폭력적이다. 자본주의 시스템에서 임금노동자로 인정받지 못하는 장애인들의 삶이 끝없이 격리되어 비참하고, 갖은 것이라고는 몸뚱이 밖에 없어서 늘 온몸으로 저항하는 투쟁을 해온 역사가 눈물겹다.

 투쟁을 하다가 국가권력에 의해 구속되어 징역사는 불과 몇 달의 기간에 나는 이 사회에서 격리되는 인간들에 대한 정신적 육제척 폭력에 화가 났으며 절대 굴복하지 않고 이 질서를 바꾸기 위한 투쟁을 할 거라 생각했었다. 사회에서 격리되는 자들의 심리와 인갑답게 존중되지 못하는, 혹은 범죄자 이므로 인간답게 존중하지 않아도 된다는 생각들과 싸워야 한다고 생각했고 그렇게 했다.

그런데 임금노동자로 자본주의 사회에 적응해서 살 수 없을 거라는 낙인이 찍힌 장애인들의 삶은 평생이 감옥과 다름아니었다.
인간이 사회적 존재로 살아가기 위한 가장 기본적 권리가 이동권이다. 장애인에게 이동권은 곧 생존권이다.

“ 자본주의 사회에서 인간의 활동이 노동으로 인정되는 기준은 ‘자본을 위해 이윤을 창출하거나 그에 도움을 주는가’의 여부이다. 그렇지 않다면 마찬가지로 노동으로 인정되지 않거나 헐값에 활용된다.... 또한 현재 최저임금법에서 명시적인 예외조항으로 남아있는 것은 장애인(정신 또는 신체의 장애로 근로능력이 현저히 낮은자)이 유일하다. 장애인 보호 작업 시설에 일하는 장애인들은 2004년도에 평균 15만 7천원의 ‘임금’을 받고 노동해야 했다.”

15만 7천원?
15만 7천원!!! 
겨우 15만 7천원의 임금을 합법적으로 받는 노동자들을 인정하는 사회에 내가 살고 있다는 사실에 나는 경악했다. 매년 해온 최저임금을 높이기 위한 투쟁에서 소외된 장애인들이 있다는 사실을 몰랐다는 것에 경악했다.

책을 읽으며 여러대목에서 반성했으나 여전히 무겁다.

2.
김도현은 더 평등한 세상에 대한 고민을 매우 현실적이고 구체적으로 한다. 그 자신이 장애인이동권투쟁을 한 활동가로서 격은 생생한 투쟁의 과정, 그 모든 고민의 과정이 책속에 온전히 담겨있다.

매우 쉽게 서술되어 있고, 나처럼 장애를 모르는 사람들에게 조목조목 차분하게 설명한다.
장애를 사회적 역사적으로 이해하는 것이 왜 중요한지, 근대이후 개념화된 장애에 대한 설명, 자본주의 시스템이 어떻게 장애를 규정하고 장애인을 절멸시키거나 치료해서 없애려고 노력해왔는지, 그것이 장애인을 어떻게 비장애인과 격리하는지. 그리고 현실에서 장애문제와 장애인운동은 어떻게 전개되고 있는지, 반자본 운동으로서의 진보적 장애인 운동까지.

철학부터 현실운동과 새로운 사회에 대한 비전까지 낮은 목소리로 친절하게 설명한다.
오랜시간 장애인투쟁을 하며 느꼈을 분노와 어려움을 호소하기위해 목소리를 높일 법도 한 대 그렇지 않다. 다만 행간에서 읽히는 분노가 차분하다.

동시대를 살아가는 사람으로서 김도현을 칭찬해주고 싶다. 내가 당장 어쩌지 못하지만 나의 무식함을 일깨워주어 고맙고 내가 당장 어쩌지 못하는 일을 열심히 하는 것으로 우리가 덜 부끄러운 세상을 사는데 일조하는 그에게 고맙기도 하다. 물론 말로 인사만 할만큼 뻔뻔스럽지는 않으려 한다. 

내가 비정규직 투쟁을 열심히 하는 것이 장애인들의 투쟁에 즉각 연대가 되지 않는다는 것을 분명히 해야 겠다. 먼미래를 인간답게 바꾸려는 비젼을 갖으려면 현실에서 벌어지는 장애인들의 투쟁에 나는 무엇을 할 것인지를 고민하지 않으면 안된다.

최저임금에서 장애인이 소외되지 않도록 정부에 요구하고 투쟁해야 하는 것이고, 장애인들의 이동권 투쟁을 위해 노동자들이 파업을 조직할 수 있어야 한다. 다른 모든 연대가 그렇듯이 공동의 요구를 걸고 투쟁하는 동지로 만나야 한다.

무겁고 고민스럽다. 김도현과 그의 장애인동지들에게 너무 오랫동안 미안한 부채의식을 갖지 않아야 한다. 이미 충분히 외롭게 투쟁해온 동지들이다.

무겁고 고민스럽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