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문, 시대의 물음에 답하라 - 조선 과거시험의 마지막 관문
김태완 엮음 / 소나무 / 2004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1. 조선시대 과거시험 문제와 대답이다. 시험문제의 난이도가 높다. 국가와 치세에 대한 자기철학이 있어야 답을 할 수 있는 문제들.

똑같은 질문을 오늘날로 옯겨와서 질문해도 제대로 답할 수 있는 관료들이 많지 않을것 같다.

2. 심지어 폭군으로 기록된 왕조차 세련된 문체로 글을 쓰는 구나. 조선시대 지식인들의 교양수준이 높다. 하긴 학자 관료들의 나라였고, 세월이 흐를 수록 병폐도 많았지만

좁은 땅안에서 신분제질서에 자기만족하며 어깨에 힘주고 사는 바보들만은 아니었던 거다. 당연히

500년을 왕조가 이어졌으면, 그만한 힘이 있는거다.

그 국가경영의 근본 철학들은 현세에도 유효한 것들이 있다.

3. 잘만들어진 책이다. 편집도 시원시원하고, 내용이 좀 지루하기 때문에 오히려 넓은 행간과 여백이 다행이다.

김태완의 글은 담백하다.

책문과 그 답, 옛사람들의 글을 번역에 놓은 부분은 장광설이 많고, 이 조선시대 학자관료들이 어찌나 형식과 예의를 구구절절이 늘어놓는지 시간많은 나른한 오후에 읽는것이 아니라면 책을 집어던질 수도 있다. "아니, 그래서 진짜로 하고 싶은 말이 뭐냐고요?"

그래서 책문과 답을 해설해 놓은 김태완의 글이 간결하고 경제적인 문장인것은 좋은 미덕이다. 더욱이 책문을 통한 왕과 신하의 대화속에 그 시대의 고민과 책문 주인공들의 마음까지 살핀다. 이점이 좋다. 느리게 천천히 시대를 초월한 국가경영에 대한 사상을 음미하는 것이 좋다.

4. 조선시대의 국가경영을 위한 고민과 위기들이 오늘날과 다르지 않음을 지적하는 대목에서도 고개가 끄덕여진다. (텔레비젼에서의 양반들처럼 그저 기생첩을 끼고 놀지만은 않았던 거다!!! ^^)

1) '식량은 백성들의 하늘이다'

예나 지금이나 통치의 기본은 인민의 경제이다. 굶주림으로부터 보호하는 것, 인간다운 삶을 위한 최소한의 경제수준을 보장해야 하는것, 거기에 현세에는 국가경제를 경영하는 비전을 알아들을 수 있는 말로 설명해주어야 한다. 경제의 성장이란 그래야 의미있다.

'국가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기업하기 좋은 나라를 만들어야 하고 그래서 노동을 유연화하면 잘살수 있다' 는말은 사기이다. 자본가와 그들을 위한 소수만 잘 사는 나라를 만드는 것이 마치 대한민국 모든 사람의 당연한 목표가 되어야 하는 것처럼 거짓말한다.

국가경쟁력이 강해지는 것은 우리의 삶을 풍요롭게 하는가? 국가경쟁력이 뭔데? 자살하는 사람이 세계에서 가장 많은 나라를 만든다는 뜻인가?

노동하기 좋은 나라를 만들어야한다. 노동자들이 처자식과 웃으며사는 소박한 꿈이 이루어지는 사회

노동의 유연화란 해고의 자유이다. 이 말은 악의적인 사기의 핵심이다. 노동의 유연화란 분배의 정의나 평등한 인간관계에 정면으로 반대하는 말이다. 사장이 더 많은 이윤을 내기위해 언제든 노동자를 해고할 수 있다는 뜻이 노동의 유연화다. 한 사람이 수백명 노동자와 그 가족의 생존권을 한꺼번에 빼앗아도 된다는 욕망이 담긴 천박한 말이다.

식량은 백성들의 하늘이다.

2) 외교

열강 사이에 낀 한반도의 위치는 예나지금이나 외교정책을 어렵게 만든다. 위정자들의 강대국에 대한 자발적인 종속은 소수의 위정자그룹을 살찌우며 민중들을 고통받게 한다.

이라크 파병과 한미FTA처럼

우리나라의 대미협상은 참 한심하다. 능력도 없고, 철학도 없고, 쌍방의 이익이 아니라 오로지 미국의 이익만을 위하는 외교를 하는 이시대 우리나라 외교관들은 솔직히 부끄러운줄을 알기는 할까. 그들의 멀쩡한 한심함이 우리 아들들을 넘의나라 침략전쟁에 총들고 서게 하고, 우리 나라 경제를 통째로 미국으로 팔아먹는다.

3) 교육

5. 임금이라는 직업은 한세상 살기에 좋은 자리가 아니다. 태어나면서 부터 왕이되기 위해 형제들, 사촌들과 경쟁하며 왕의지위에 걸맞는 품성과 지성과 판단력을 기르기 위해 키워지는 자의 막중한 책임감과,

그로인해 왜곡될 수 밖에 없는 인간의 감성이 있는 것 같다.

예나지금이나 평범한 일상을 살고 있다면 감사해야 할 일인것 같아.

6. 뒤로갈 수록 의식적인 장광설과 수다스러운 허례허식의 언어가 지루해진다. 느긋한 휴일에 천천히 읽어야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