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식 잡학 사전 미식 잡학 사전
프랑수아 레지스 고드리, 강현정 / 시트롱마카롱 / 2017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1. 

프랑스 라디오 채널 프랑스 앵케르에서 매주 일요일 오전 11시 "먹어봅시다"라는 프로그램을 방송했다. 

미식에 관한 우리의 열정을 거만하지 않은 겸손한 자세로, 그러나 진지한 태도로 세밀히 파헤치고 분석한 우리들만의 아기자기하고 재미있는 요리 잡학서 라고 고드리가 안내해준다.

엄청큰 판형, 두꺼운 종이, 올컬러, 페이지마다 마치 잡지처럼 자유롭고 화려한 편집이다. 

크기와 부피, 두께,무게, 편집방식, 가격 모든 면에서 파격적이고 

실제 방소했던 것중 흥미로운 것을 가려뽑았다니 당연히 재미는 있지. 


그래도, 이런 책은 자신감의 승리하고 생각해. 

인기있었던 방송을 책으로 만든다는 생각이야 할 수 있지만, 단순히 방송을 옮겨놓은 것이 아니라 

미식이라는 주제로 새로운 상을 차린것이다. 엄청 화려하고 큼직큼직하게. 자신감이다. 

맛있는 독서를 하라고 유혹하는 셈이다. 기꺼이 넘어 갔다. 

지금까지 도서관에서 빌린 책 중 가장 크고 무겁다. 맛있게 즐기려 한다. 

먹방이 유행하니까, 이런 책도 나오는 구나. 바야흐로 미식이 찬미되는 시대다. 



2.

요리사 오귀스트의 인생행로를 주요 연대별로 정리하며 예를들면 

1895 에밀 졸라에게 그의 음식을 서빙한다. 

이런 항목이 들어간다. 

단순히 맛있는 음식을 만드는 사람의 기술의 문제가 아니라, 친목과 교류, 문화와 인생에 대해 폭넓게 말한다. 

그런가하면 두번째 이야기 주제는 프렌치 프라이인데 이 감자튀김의 어원, 프랑스와 벨기에의 비교, 그리고 

맛있는 프렌치 프라이 레시피를 소개한다. 

누구에게나 사랑받는 프렌치 프라이를 놓친다는 것은 말도 안되는 일이다. 라고 하면서 말이다. 

탐나는 책이다. 

프랑스판 원조 수요미식회라고나 할까. 


포르투칼 사람들은 염장 대구를 조리하는 방법의 가짓수를 한해의 날짜 수보다 많다고들 말한다. 

심지어 포르투칼 사람들은 대구를 '믿음직한 친구'라는 애칭으로 부른다. 

염장 대구의 유래와 방법과 세계각국의 세계각국의 염장대구 요리를 소개한다. 

아, 정말 재밌네. 맛나다. 눈호강!


빅토르 위고 편도 재밌다. 

그의 식욕은 작품에 비례한다. 

문학평론가 생트 뵈브는 다음과 같이 정리한다. 

"세상에서 가장 거대한 위를 가진 세 부류가 있다. 그것은바로 오리, 상어, 그리고 빅토르 위고다."

이 사람들 인문학과 요리를 함께 즐기며 놀았구나. 


요리는 정말 창의적인 작업이다. 

태양의 요리사라고 불리는 로제 베르제의 레시피로 속을 채운 호박꽃 요리는 사진도 있는데, 예쁘다. 색감이 끝내줘. 

2015년 6월 5일 그가 세상을 떠났을때 뉴욕타임즈는 지면 한장을 온전히 그의 기사에 할애 했다. 

"대담한 용기도 그의 레파토리의 일부분이었다. 그는 전혀 주저함 없이 그 당시까지 미슐랭3스타 레스토랑에서는 상상할 수조차 없었던 단순하고 소박한 식재료들을 요리로 선보이곤 했다."


키비악이라는 그린란드 요리는 바다표범의 내장을 빼낸 몸체에 펭귄을 통째로 넣어 발효시킨 요리란다. 

냄새가 죽음이다, 라고 되어 있네. 으아~~.

냄새가 심한 식재료도 소개된다. 

앤서니 보댕이라는 셰프가 두리안의 냄새를 

"5년 정도 방치한 할머니의 시신을 꽉 끌어안는다면 아마도 이런 냄새가 날 것이다."라고 했다. 하...하... ^^;


세계적으로 다양한 요리와 소스를 소개하는데 한국음식은 언제 나오나 했더니 세상의 기상천외한 음식들 편에서

생쥐술이 중국과 함께 한국음료로 소개되고 보신탕이 한국음식으로 소개된다. 음...... 그렇군. 


파리의 특별한 미식명소, 유명한 식당들이 소개되는데 

라 투르 다르장은 설립연도가 1582년이고 오손 웰스가 단골이었다. 

라 프리트 셰즈는 1680년 서립이고, 루이 14세 건축양식이다. 

르 프로코프는 1686년 설립되었고 송아지 머리 코코트가 대표메뉴인데 볼테르의 단골이었다. 

50년만 지나면 노포대접을 하는 한국에서는 부러운 일이다. 

일일이 이런 식당을 가서 먹어보고 싶으면 큰일이겠다. 

나는 그냥 이렇게 수다떨듯이 그림으로 보는 눈호강으로 만족한다. 

우리 동네 칼국수도 맛나거든. 생쥐술이나 보신탕 말고 말이다. 


18세기 대혁명 이후 수세기를 거치는 동안, 심지어 현재 살고있는 21세기에도 공적 요리 분야는 남성들의 영역, 사적 요리분야는 여성들의 영역이라는 공식이 기본적으로 그대로 유지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런 말도 해주는 정도의 예의와 교양은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