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을이 깊어졌다. 책을 샀다. 연휴에도 샀고, 연휴 끝나고도 샀다. 책도 선물했다. 좋아하는 이들을 보니 기분이 좋구나. 아무튼 그렇게 사고 읽는 나날.
한나 아렌트, <난간 없이 사유하기 - 한나 아렌트의 정치 에세이>
최근 출간된 책 중 단연코 갖고 싶은 책이 아닐까....(라고 하기엔 갖고 싶은 책은 늘 많지만 아무튼 이 책은 진짜 냉큼 사고 싶었다). 이 책은 아렌트 사유의 흐름을 한눈에 볼 수 있는 정치 에세이로, 아렌트의 조교 출신인 제롬 콘이 아렌트 에세이를 시기별로 정리하여 엮었다. 아렌트가 46세(1953)부터 서거 직전인 69세(1975)까지 남긴 글, 강연, 서평, 대담 등 총 42편의 글을 집필 순서대로 실었다고. 아렌트 저작이 국내에 여럿 출간되어 있지만 오역 지적은 늘 따라다닌다. 이 책은 좀 그렇지 않기를 기대하면서.
피에르 부르디외, <하이데거의 정치적 존재론>
요즘 다시 부르디외 읽기에 꽂혔다. 부르디외의 <사회학자와 역사학자>를 읽다가 거기서 언급된 하이데거론이 궁금해서 이 책을 샀다. 얄궂다. 바로 위에는 아렌트의 책, 그리고 그 아래에는 하에더거. 부르디외는 논한다. 하이데거는 나치 부역자라서 읽지 않아야 할까? 가르치지 말아야 할까? 혹시 그의 철학적 사유는 나치 참여와 떼려야 뗄 수 없었던 것은 아닐까? 아니면 이 모든 것과 별도로 하이데거의 저작은 하이데거 저작 그 자체로만 읽어야 할까? 부르디외는 하이데거의 철학과 나치즘의 관계에 대해 자신의 ‘장’과 ‘하비투스’ 이론을 가져와 분석해본다. 와우... 흥미로워 보여.
피에르 부르디외, <언어와 상징권력>
부르디외는 언어란 단순히 개인의 품성이나 문법능력을 표현하는 것이 아니라 이를 통해 권력을 지닐 수 있다고 생각한다. 언어활동을 통해 권력관계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이익을 얻는 자와 손해를 보는 자가 있다는 것이다. ‘언어와 상징권력’이라는 제목 자체가 모든 걸 다했다. 완전 재미나 보여. 언어와 권력 관계에 늘 주목하는 희진쌤의 관점과 비교해 가며 읽어도 흥미로울 듯.
피에르 부르디외. 로제 샤르티에, <사회학자와 역사학자>
부르디외 입문서로 손색없는 책. 역사학자인 샤르티에와의 대담을 엮었다. 이미 읽고 100자평 남김. 100자평에는 미처 쓰지 못했는데 역자들의 노고도 빛나는 책.
마르셀 모스, <몸 테크닉>
언어 못지않게 인간의 ‘몸’과 관련한 사회학적 성찰에도 관심이 많다. 이런저런 책을 살펴보던 종 모스의 선집이 출간되고 있는 것을 발견! 마르셀 모스는 프랑스의 사회학자이자 인류학자로 에밀 뒤르켐의 조카이기도 하다. 인간의 몸에 관한 사회학과 인류학의 원류에 속하는 <감정 표현의 의무> <집단이 암시하는 죽음 관념이 개인에게 미치는 신체적 영향> <몸 테크닉> 등 마르셀 모스가 프랑스 심리학회에서 강연할 목적으로 쓴 네 편의 글을 우리말로 옮겼다. 모스 선집 다 모아야지.
베르너 하마허, <문헌학, 극소>
연휴 중 교보에 나가서 샀다. 이 조그만 책이 글쎄 진열장 맨 위에 꽂혀 있어서 직원이 사다리 타고 올라가서 꺼내 줌. 이 책이 그렇게 인기 없는 건가요? 문지의 인문 에세이 시리즈인 ‘채석장’에 좋은 책 많은데.... 흐흑. 이 책도 빛나는 책 중의 하나. 독일의 문학이론가 베르너 하마허의 대표 저작인 <문헌학을 향한 95개 테제>와 <문헌학을 위하여>를 한 권에 담았다.
하인리히 뵐, <하얀 개>
이것도 같은 날 교보에서 구매. 하인리히 뵐 자료실과 유족협회가 발굴하여 정리한 유고소설집으로 5편의 짧은 소설과 6편의 긴 단편 소설을 묶었다. 뵐의 애독자라면 그냥 지나칠 수 없는 책이 아닐까.
오노레 드 발자크, <사라진·샤베르 대령>
죽기 전에 발자크의 작품은 다 읽어보는 것이 목표 중 하나인데...(다 읽을 수 있을까?) 이 책은 그의 책 중 그나마 얇고, 그나마 더 재미나 보인다. 발자크가 <인간극>을 구상하기 시작한 시기에 쓴 초기 대표 단편 두 작품이 담겼다.
지넷 윈터슨, <프랭키스슈타인>
지넷 윈터슨 책은 계속 사두네. 이 책도 나왔을 때부터 보관함에 담아뒀었다. <오렌지>부터 읽어야 하지 않을까. 이 책을 읽기 전에는 왠지 <프랑켄슈타인>도 다시 읽어야 할 것 같다. 메리 셸리의 <프랑켄슈타인>에 대한 21세기의 응답.
유디트 샬란스키, <잃어버린 것들의 목록>
결국 사고 말았다. 전에 도서관 희망도서로 신청해서 읽고 완전 반했던 책. 두고두고 다시 읽어볼 요량으로 결국 구매.
김진영, <이별의 푸가>
결국 사고 말았다2222. 이것도 전에 도서관에서 빌려 읽었었는데 가을이라 그런가 다시 읽고 싶어져서 결국 구매. 어떤 책은 읽고 빨리 되팔고, 어떤 책은 빌려 읽고 나중에 다시 사고. 책들의 운명이란.
[eBook]
M. C. 비턴, <중독자의 죽음>
추석 당일 엄마한테 가는 전철에서 급박하게(?) 읽으려고 급박하게 샀지만 가는 내내 게임만 하느라 읽지는 못했다. 엄마한테 가는 길이 짧기는 해서;;; 아 나도 참 웃겨.... 그나저나 현대문학에서 해미시 맥베스 순경 시리즈 15권에서! 이걸 끝으로 더는 번역하지 않는가 보다... 과거에 조르주 심농 시리즈도 결국 엎어지더니(열린책들), 현대문학도 이 시리즈를 결국 포기하는군요.... ㅠㅠ 해미시와 프리실라는 그래서 어떻게 되는 거야?! 15권까지 그래도 꾸준히 (대부분은) 구매해서 읽었다. 즐거웠다 해미시.... 그만 한눈팔고 너의 영혼의 짝 프리실라랑 행복해...

10월의 책탑... 그만 사... ㅋㅋㅋㅋㅋㅋㅋ 다 읽고 사! 제발!

버섯도 추가.... 그나저나 요즘 본 영화들(<사랑할 땐 누구나 최악이 된다>와 넷플릭스에서 <비프> 잠깐...)마다 영화에서 버섯 먹고 환각에 빠지는 인간들이 나오던데.... 환각 버섯 유행인가요? ㅋㅋㅋㅋㅋ 아니 인간들아, 삶이 얼마나 지루하면 버섯 먹고 환각에 빠지냐.. 그냥 책을 읽어 싶지만.... 뭐 누구나 중독은 다양하니까... -_-

해미시야, 그동안 즐거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