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교 2학년때 초등학교 6학년 여자아이의 과외를 한 적이 있다.

그 아이가 조숙해서 그런지 사랑니때문에 많이 아파했는데..

난 그때까지도 사랑니에 관해서 잘 모르고 있었다.

다만 초등학생이 나는 사랑니가 나는 안 난다는 사실에 엄청 부끄러워했던 것 같다.

그래서 친구들에게 물어보니 다행히 친구중에 사랑니가 난 애도 있고, 안 난 애도 있었다.

 

난 그냥 막연히 '사랑니'라고 해서 사랑니가 나면 사랑하는 사람이 생기기때문에 그런 이름이 붙었을 거라고.... 그렇게 생각했다(엄청 단순...^^;;)

그래서 나도 빨리 사랑니가 났으면 좋겠다~ 사랑니가 날때 만나는 사람이랑 영원히 사랑하게 될거야...(진짜 단순..^^;;) 라는 생각을 갖고 있었다.

 

근데 오늘 어떤 선생님께서 울어서 빨개진 눈에 볼이 퉁퉁 부어서 학교에 오셨다.

손에는 피뭍은 휴지 한뭉치를 쥔채로..

정말 괴기스러웠다.

'선생님 무슨 일 있으셨어요?'하고 근심스레 여쭈었더니....

'막니를 뽑았다'고 하신다...

막니라..... 나는 막니가 사랑니의 다른 이름이란 것을 알게 되었다.

인터넷을 뒤져보니 사랑니가 실제로는 이름만큼 그다지 낭만적이지는 않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정말 사랑니보다는 막니라는 표현이 더 적절할 지도 모르겠다.

슬프다....ㅠ.ㅠ 사랑니에 대한 환상이 깨지는 것 같다.

근데 난 정말 언제쯤 사랑니가 날까?

 

 


댓글(5)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잉크냄새 2004-02-24 22:5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전 사랑니가 어금니만큼 튼튼하고 자리를 잘 잡았더군요. 그래서 치과만 가면 치과의사 왈, '사랑니가 튼튼하니 나이 들어서 어금니까지 빠지면 사랑니에 틀니를 거세요' 라고 친절하게 말하더군요. 이런, 치과의사가 할 얘기인지....

stella.K 2004-02-25 00:0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도 그렇게 엄청 단순하게 생각한 적이 있었지요. 그런데 요즘엔 그 단순한 생각이 맞을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들어요. 저 사실은 사랑니 안 낫구요, 그래서 그런지 아직 단순하게 살아요. 무슨 뜻인지 아시겠죠. ^^

젊은느티나무 2004-02-25 16:1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사랑니에 틀니를 거세요ㅋㅋ 재밌네요... ^^
사랑니 나면 인생이 복잡해져요.. 사랑하게 되어도 마찬가지겠지요..^^*

프레이야 2004-02-28 23:5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전 스무살에 사랑니를 뽑았어요. 아파서 치과에 갔더니 뽑는 게 낫다구...
사랑니의 본명이 막니였군요. 재미있네요. 원래 사랑에 눈이 어두워지면 막 가서 그런가^^

젊은느티나무 2004-03-07 18:4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하하.... 해석이 더 재밌으세요~^^ 사랑에 눈이 멀면 진짜 막가나요......? ㅋ
 

옛날에 내가 내 자신을 A형이라고 잘못 알고 있었을 때는 A형 성격이야 말로 나를 제대로 설명해주고 있다고 생각했는데 실제로 내가 AB형이라는 것을 알게된 초등학교 6학년때부터는 AB형 성격이야 말로 내 성격을 제대로 설명해주고 있다고 생각하게 되었다. 

마찬가지로 내가 스스로를 '전갈자리'라고 알고 있을 때는 전갈자리의 성격풀이가 내 성격이랑 비슷하다고 느꼈는데.. 지금은 '사수자리'의 성격풀이야말로 진짜 내 성격이랑 비슷하다고 생각한다....

사주, 혈액형 분석법, 별자리점 등등 이런 것들은 그 틀 속에 내 성격을 마구 끼어맞춰 생각하도록 만든다.

역시 사람은 주관이 뚜렷해야해~!

그런 것들이 어떻게 내 자신을 모두 설명해줄 수 있겠어...

가끔씩 재미로는 봐도 너무 믿지는 말아야겠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stella.K 2004-02-24 11:5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정말 그렇긴 해요.
 

'가르치다'와 '그르치다'는 글자로는 모음 하나 차이임에도 실제로는 엄청난 차이를 가지고 있다.

리뷰를 쓰다가 가르치다를 그르치다로 잘못 적은 것을 발견하고는 놀라움을 넘어서 경악하고 말았다.

부디 내가 가르치는 일이 내 아이들을 그르치지 않도록 해주소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요새는 내가 바보가 된 것 같다.

지금 내 방을 둘러보니 여기저기 읽다만 책들이 널려 있다.

몇 권은 반쯤 읽고, 몇 권은 아직 시작 단계이고...  도서관에서 빌려온 책들도 마구 던져놓고 손가는 대로 뒤죽박죽 읽고 있다.

책을 읽고도 아무런 생각이 떠오르지 않고 계속 답답하다.

어느덧 나도 사회생활 2년차가 되어가는데 막막한 건 여전하고......

어딘가 꽉 막혀있는 내 자신이 가끔씩 너무 미워지고....

계획만 잔뜩 세워놓고..공부도 안하고..

에효.... 정신차리자!

 


댓글(2)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에너 2004-02-23 15:4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가끔 슬럼프에 빠지기도 하잖아요. ^^
저역시 계획은 잔뜩 세워놓고 이룬 것은 하나도 없어 답답하고 짜증나는 날이 많기는 하지만 그래도 열심미 살아보려고 노력하는 중이예요.^_________^
(> <) 자~ 정신 집중!!

젊은느티나무 2004-02-23 23:1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목표없이 사는 것도 힘들지만 목표가 있어도 이루기 위해 노력하지 않는 것 역시 힘든 일이란 걸 깨달았어요....ㅠ.ㅠ
 
 전출처 : 진/우맘 > 정말정말 오래 기다리셨습니다. 젊은 느티나무님.

하필...갑자기 우르르 손님이 몰려들 때의 끝자리에 계셔서...정말 오래 기다리셨습니다. 기다림이 가치가 있어야 할텐데요.^^

CP - 10. CP는 비판적인 어버이로서의 자아입니다. 이 점수가 높은 분들은 대개 이상이 높고 독선적이며 완고한 성향이 있지요. 타인에 대해 부정적인 시각을 많이 갖고 있어 비난, 편견, 징벌, 강압, 배타 등의 단어와 친하구요. 10점인 젊은 느티나무님은 <지배>과 <관용>의 경계선에 걸쳐 계십니다. 아주 너그럽지는 못하지만, 적당히 위엄이 설 수 있는 이상적인 범주 내에 위치해 계시므로 크게 우려할 바는 없겠습니다.

NP - 13. NP는 양육적인 어버이로서의 자아입니다. 13점이라면, 헌신적인 스타일의 양육자 기질이 엿보이는군요. NP가 높으신 분들은 마음이 착하고 돌보기를 좋아하며 공감적입니다. 타인을 따뜻한 시선으로, 칭찬의 안경을 쓰고 보지요. NP 역시 이상적인 범주 내에 계십니다.

A - 14. 성인자아입니다. 얼마나 정서적이거나 비판적이지 않고, 사실과 실제에 바탕을 두는가...를 알아볼 수 있는 대목이예요. 이 점수가 지나치게 높으면 비인간적이라는 불평을 듣기 십상이죠. 12점 정도가 적당한 점수라는 견해가 있으니...14점이면, 쪼오금 높지요? A 우위인 분들은 두뇌가 명석하고 논리적이며 합리적입니다. 매사 중립적이려고 애쓰구요. 법관들은 A가 높아도 되겠군요. 하지만 사실, 일상 생활 중에 이런 분들을 만나면 조금은 부담스러운게 사실이지요? 논리와 합리가 항상 최우선의 가치는 아니라는 사실, 기억하시구요, 가끔은 즉흥적이고 감정적인 결정도 내려보세요. 특히, 사랑하는 사람이 있으시다면.^^

FC - 15. 자유로운 어린이 자아.^^ 얼마나 본능과 직관에 자신을 맞길 수 있는가...얼마나 놀기 좋아하는 행동파인가...얼마나 창조적인가 등등을 보여주는 점수입니다. 상당히 개방적인 개구장이시군요. FC 점수를 보니 조금 높은 A는 크게 우려하지 않아도 될 것 같습니다. 놀다가도 내일을 위해 브레이크를 잡을 수 있는 분이실테니 말이예요. 그래도, 정말 하고 싶은 일에는 너무 제동을 걸지 마세요. 가끔, 아주 가끔의 일탈이 젊은 느티나무님에게는 약이 될 수도 있을 것 같거든요.(어...제 말 너무 믿고 큰 사고 치지는 마시고.^^)

AC - 16. 적응된 어린이 자아입니다. 님 역시 FC도 높고 AC도 높은 타입이시군요. 사실, FC와 AC는 각각 <자기 긍정>과 <자기 부정>을 대표하며 서로 상반되는 영역이라고 볼 수 있는데 말이예요. 16점이라면, 상당히 높은 점수인데...이런 분들은 대개 의존적이며 환경에 지나치게 순응하는 우유부단한 스타일이 되기 쉽습니다. 자기비하 성향도 항상 경계해야 하구요.

A, FC, AC 점수를 한 번 직역해 보자면... 님은 상당히 놀기 좋아하고 창조력이 넘치는 행동파입니다. 그런데 사실 알고보면 상당한 어리광쟁이 기질에 항상 자신감이 없는 사람이기도 하지요. 그러기에 되도록 논리적인 판단으로 현실생활을 합리적으로 꾸려나가려고 애쓰고 있습니다.

이런, 직역을 한다고 해놓고 제멋대로의 추측이 개입된 의역이 되어버렸군요. 이 대목에서 <뜨끔!> 아니면 <에이, 별 거 아니네>의 상반된 반응이 기대되는데요.^^ 여하간, 저도 그런 타입인데...FC와 AC가 모두 높으면, 대체로 자신에 대한 양가감정으로 인해 심정이 복잡하기 마련입니다. 그런데 님은 다른 세 영역에 큰 이상이 없기 때문에, 겉으로 보기에는 멀쩡하고 좋은 사람인데...머리 속, 가슴 속은 항상 부글부글 우당탕탕일 수 있다는 거지요.

누누히 말씀드리지만, <이상적인 자아>란 없습니다. 물론 아이 엄마인데 CP는 너무 높고 NP가 낮게 나왔다면, 자신을 변화시키려고 노력을 할 필요가 있겠지요. 하지만, 노력 이전에 자신의 성향을 파악한 것만으로도 대개 절반은 성공한 것입니다. 젊은 느티나무님의 경우 CP, NP, A, FC 점수로 보아 어떤 상황, 어떤 역할에서나 무난하게 대처할 수 있는 잠재력이 있는 분일 것으로 보입니다. 혹시, 제 추측대로 어떤 일을 앞두고 자신에 대해 혼란스러워 한 경험이 있으시다면, <그것은 내 성향이야>라고 깔끔하게 인정하고 대처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젊은느티나무 2004-02-16 19:0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진/우맘께서 내 심리검사를 해주셨다. 덕분에 내 자신에 대해서 좀더 이해할 수 있는 계기가 된 것 같다. 근데 이거 진짜 신기하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