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 읽어주는 여자 명진 읽어주는 시리즈 1
한젬마 지음 / 명진출판사 / 1999년 9월
평점 :
절판


도서관에 갈 때마다 제목을 보고 그림을 설명해주는 책일 것이라 지레 짐작하고 좀 따분하리라 생각했던 이 책은 실제로 읽어보니 '둘 만의 공간에 걸고 싶은 그림' '위안이 되어 준 그림' '사랑에 빠졌을 때 눈에 들어온 그림' 하는 식으로 그림을 보고 받은 느낌들을 편하게 나열해 놓은 책이었다.

사실 그림을 보는 시선은 주관적일 수 밖에 없음에도 불구하고 그림에 대해 자신의 의견을 말할 때 남의 눈치를 보게 된다. 그림에 문외한인 내가 잘못 말했다가 무식하다는 핀잔이라도 들을 까봐 늘 주눅이 들었기때문이다. 하지만 이 책은 그림을 느낀대로 편하게 받아들이도록 해주는 참으로 친근하고 편안한 책이었다. (그림과 전혀 상관없는 이야기들만 잔뜩 써 놓은 부분도 있고, 어떻게 보면 먼저 써 둔 글에 어울리는 그림을 가져다가 나란히 배치해 놓은 것 같은 부분도 있다. )

대학때 미술 강의를 들으며 한 학기에 의무적으로 몇 번의 전시회에 가고, 그 느낌을 레포트로 제출해야 했던 적이 있다. 그때 강의를 맡으신 교수님께서 자신을 '마지막 천재'라고 자칭(^^;;)하시던 기억이 난다. 어떻게 들으면 자기 자랑을 하는 것 같지만 나는 그 교수님이 참 좋았다. 자신이 좋아하는 그림에 대한 열정도 대단했지만 작품을 감상하는데 '작가나 그림의 명성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자기가 느낀 그대로, 체험한 그대로가 중요하다'는 말씀을 통해 우리들에게 미술을 친근한 것으로 느끼게 해주셨기때문이다.

'좋은 작품을 보면 마음이 넓어지고 예뻐집니다'라는 문장을 우리들에게 주입(?!)시키시던 교수님. 나는 그때 비록 레포트를 쓰기 위해 미술관 문턱을 드나들긴 했지만 참 즐거운 마음으로 미술관을 다녔다. 겓가 레포트가 어쩜 그렇게 술술 잘도 써지던지. 그 기억은 지금도 아주 좋게 남아 있다.

피카소의 청색시대라는 작품이 있다. 온통 청색으로 그려진 그 그림은 작가의 특별한 의도가 있었던 것은 아니고, 그 그림을 그리던 당시 피카소가 돈이 없어서 값싼 청색 물감 밖에 살 수가 없어서 그린 그림이라고 한다. (나중에 그가 유명해진 후에야 '청색시대'라고 명명했다고 함.) 어떻게 보면 정말 아무 의미없이 '작품'이 된 '작품'들도 있지 않을까? 그러니 작가의 의도를 우리가 모른다고 해서 부끄러울 필요는 없을 것 같다.

요새처럼 동적인 시각 자극이 충만한 시대에 정적인 한 폭의 그림을 통해 우리가 얻을 수 있는 것이 무엇일까? 무엇이든 정신없이 들이 닥치는 이 시대에 그림은 시와 비슷한 역할을 하지 않나 싶다. 읽는 사람마다 조금씩 다르게 느끼고 또, 읽을 때마다 조금씩 느낌이 달라지는 시. 그림 역시 보는 이의 마음 상태에 따라 느낌이 조금씩 틀려질 수 있다는 점과 한 폭의 그림을 통해 무한한 상상력을 펼칠 수도 있다는 것이 그림의 강점이 아닐까 싶다.

이 책이 '마음이 넓어지고 예뻐지게 하는' 그림을 다시 접하게 해주는 계기가 되었으며 좋은 작가들의 멋진 그리들을 많이 알게 해준 것 같아 참 기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임형주 - Salley Garden
임형주 노래 / 미디어신나라 / 2003년 1월
평점 :
품절


이 음반은 올해 초에 선물 받은 것이다. 이 음반을 선물 받고 나서야 임형주라는 이름도 생소한 '팝페라' 가수를 알게 되었다. 노래 듣기를 좋아하지 않던 나였던지라 다른 일들을 하며 별 생각없이 틀어놓고 몇 번 이 음반을 들었다. 하지만 한동안은 이 음반을 제대로 들어본 적이 없다. 평소 습관처럼 음반을 틀어놓고 항상 다른 일을 하느라 노래에는 집중하지 못 했기 때문이다. 그러다가 우연히 이 음반에 귀를 기울이게 되었는데 한동한 멍~ 한 기분으로 하염없이 임형주의 목소리에 빠져들었던 기억이 난다. 그날 이후로 나는 가끔씩 이 음반을 틀어놓고 멍하니 앉아서 마냥 노래(아니.. 그 아름다운 목소리에)에 귀를 기울인다.

그때 처음으로 왜 음반 소개에서 임형주의 목소리를 두고 '천상의 목소리'라고 하는지 이해가 되었다. 정말 듣고 있자면 머리 속이 환해지며 내 자신이 하늘 위로 붕~ 뜨는 환상적인 기분이 든다. 누구의 목소리를 듣고, 노래를 듣고 이런 느낌이 들기는 처음이다. 피곤한 날에도 집에 돌아와서 이 음반을 틀어놓고 임형주의 목소리를 듣고 있자면 기분이 좋아지고 피로가 풀리는 느낌이 든다. 혹은 일요일 아침 조용할 때 혼자 차한잔 마시면서 이 음반을 듣고 있자면 하루가 기분 좋아진다. 적극 추천하고 싶은 음반이다.

(앨범 자켓 사진을 보고, 그의 목소리를 듣고 여자인지 남자인지 처음엔 무척 헷갈렸다. 하지만 그는 고운 목소리와 예쁘장한 외모를 가진 남자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촌놈, 김용택 극장에 가다 2
김용택 지음 / 자음과모음(이룸) / 2003년 1월
평점 :
품절


나는 영화를 잘 보지 않는 편이다. 핑계는 다양하다. 시간도 엇고, 돈도 없고, 집에 있는 비디오 조차도 10년이 넘어서 제대로된 기능을 못한다는 것이 그것이다. 이 책에서 그가 언급하는 영화는 아주 많다. 그냥 스치듯이 제목만 말하고 넘어간 것들까지 합하면 꽤 되는 것 같다. 그가 언급하고 넘어간 영화들은 대부분 내가 보지 못한 것들이다. 방송에서 엄청나게 광고를 해댄 영화들이라 대충의 내용도 알고, 주인공도 아는 그런 영화들이지만 내가 실제로 본 영화는 몇 편되지 않는 것 같다. 영화를 안 봤으니 그가 말하는 영화에 관해 내가 이러쿵 저러쿵 이야기를 할 수는 없을 것 같다.

이 책속에는 영화에 관해 소상하게 설명하는 부분은 별로 없다. 그냥 영화를 본 저자의 느낌이 대부분이다. 실제로 영화의 내용에 대해 지나치게 이러쿵저러쿵하는 것보다는 이런 식이 더 낫다는 생각이 든다. 영화를 통한 김용택씨만의 삶의 해석이랄까.. 이런 것들을 통해서 나 역시 영화를 보고 싶은 충동이 들긴 했으니까.

마지막에 내가 본 배우들, 그리고 영화에 대한 몇 가지 단상이라고 해서 짧은 글이 실려있는데 나는 김용택씨가 '영화에 대한 세가지 단상'하며 써 놓았던 부분이 가장 읽을 만했던 것 같다. 아주 짧은 글이긴 했지만 영화에 대한 그의 바람까지도 들어있고 저자의 생각이 잘 요약되고 집중된 부분이었기때문이다. 김용택씨가 이토록 영화에 대해 많이 아는 사람이었나 하는 생각에 놀라웠는데 이 책의 1권도 한 번 읽어 보고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