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밑에 달이 열릴 때
김선우 지음 / 창비 / 2002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일요일 밤에, 김선우 글을 조금만, 정말 조금만 읽고 자려고 침대에 누운 채 책을 읽었다. 그러다가 책을 들고 침대에 걸터 앉았다가, 혼자서 서성거리다가, 급기야는 맥주를 한 캔 들고 다시 읽었다. 그러다 보니 책을 다 털고 말았다.

그의 글에서 나를 사로잡는 힘을 어떤 것일까?

그의 글은 깊은 사유의 결과로 나온 것이지만, 나에게 그 사유를 강요하지 않는다.

그의 글이 가진 힘은 사유의 밑바닥까지 내려간 이가 엮어내는 글이기 때문에 우러나는 것일 것이다. 인간 존재의 근원에 대하여 사고하고, 삶의 존재 양태에 대하여 생각하고... 산다는 일에 대하여 생각하고, 속세와 출가에 대하여 생각하는 그의 빛은 아무래도 햇빛 보다는 달빛에 가깝다. 불에 비해 물에 가깝다.

같은 문제를 맞닥뜨릴 때, 나는 혼자서 길을 떠나고 혼자서 물음의 밑바닥까지 훑은 습관이 들어있지 못하다. 문제를 회피하고, 술기운을 빌려 우회하거나 건너 뛰어버리는 것이 내 존재 양식이었다. 그래서 그의 글을 읽으면 부끄럽고, 한켠 그가 안쓰럽다. 내가 잘 사는 것은 아니지만, 그가 내 아픔까지 앓고 있는 듯 했기 때문이다.

세상의 모든 것은 연결되어 있고, 따로 떨어져 있는 것은 없다. 그는 그것을 매 순간 깨어서 느끼고 나는 문득 느끼다가도 거기 천착하지 못하고 생활의 종이 되어 바쁜 체를 하며 살아갈 따름이다.

나 대신 생각해 주는 그가 고마워서, 그의 글을 읽으면 그를 놓지 못할 수밖에 없는 모양이다.

칠판에 콕 찍은 것처럼 작은 이 별에서, 다시 작고도 작은 한반도의 남반부, 그 땅위에 꼬물거리며 기생하는 존재들이, 대통령을 뽑는다고, 내년에 뽑을 대통령이 못미더워서 벌써 간첩단 사건을 만들고 난리다. 미국은 그 큰 나라가 그 작은 나라에서 뭔가를 더 뺏어가려고 난리다. 작고도 작은 것이 서로 존재를 확인하려고 부딪히는 꼴을 보면 가소롭고도 가증스럽고 가공할 만한 일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