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먼 부엉이
사데크 헤다야트 지음, 배수아 옮김 / 문학과지성사 / 2013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란이라는 나라는 축구를 잘하는 정도,

아이들이 예쁘게 생긴 나라, 이슬람 국가... 뭐 아는 바가 없다.

 

외국인들이 보기에 한국도 그런 나라가 아닐까?

해외여행도 금지되었던 90년대 초반까지의 대한민국은,

자국 내에서 고문으로 사람들을 죽이고, 평생 감옥에 넣어서 빼지 않는...

27년 감옥생활한 만델라가 와서 보고는 깜놀한 장기수가 많은 나라였다.

 

조국 찬가를 부르짖고, 아, 대한민국을 부르지만, 가장 폐쇄적인 나라였던 곳.

숨어서 철학 책을 읽고, 마르크스를 보던 젊은 시절을 떠올리면,

기형도의 책이나 이런 책이 낯설지만은 않다.

 

삶에는 마치 나병처럼 고독 속에서 서서히 영혼을 잠식하는 상처가 있다.

하지만 그 고통은 다른 누구와도 나눌 수 없다.

타인들은 결코 그런 고통을 믿지 못하고

정신 나간 이야기로 치부할 뿐이다.

만약 누군가 그 고통에 대해서 묘사하거나 언급이라도 하게 되면,

사람들은 남들의 내도를 따라서

혹은 신경쓰고 싶지 않다는 이유로,

의심 섞인 경멸의 웃음을 지으며 무시해버리려고 한다.

아직 인간은 그런 고통을 치유할 만한 수단을 갖고 있지 못하기 때문이다.

유일한 방법이라면 술을 마시고 망각해버리는 것.

그러나 이런 방법은 오래가지 못한다.

고통은 잦아드는 것이 아니라 잠시 후 더욱 격렬한 형태로 되돌아오고 만다.(7-8)

 

사랑을 잃고 나는 쓰네.

 

있거라, 짧았던 밤들아
창밖을 떠돌던 겨울 안개들아
아무것도 모르던 촛불들아, 잘 있거라
공포를 기다리던 흰 종이들아
망설임을 대신하던 눈물들아


잘 있거라, 더 이상 내 것이 아닌 열망들아

장님처럼 나 이제 더듬거리며 문을 잠그네
가엾은 내 사랑 빈집에 갇혔네(기형도, 빈 집)

 

보잘것 없는 나라의 보잘것 없는 언어로 쓴

보잘것 없는 시인의 시는 암울하다.

 

내가 보고 느끼고 생각하는 모든 것은

사실은 현실과는 관련이 없는

착각과 망상에 불과한 것은 아닐까?(10)

 

마치 꿈속의 몽상을 따라가는 듯한 이야기들은 뜬금없이 시작되고 연결된다.

 

인간은 누구나 가면을 뒤집어쓴 채 살고있는 것이 확실하다.

시간이 흐를수록 가면은 당연히 더러워지고 주름이 생기지만,

그래도 대부분의 인간은 계속해서 그것을 쓰고 다닌다.

그들은 낭비가 싫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들도 어느 일정 나이에 이르게 되면 어쩔 수 없이 깨닫는다.

최후의 마스크가 소멸하고 남은 자리에 드러나는 것이 그들의 진정한 얼굴이다.(13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