끌리는 사람은 1%가 다르다
이민규 지음 / 더난출판사 / 2005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의 결론은 이것이다. 아는 것은 힘이 아니다. 아는 것만으로는 아무 것도 이룰 수 없다. 실천하는 1%만이 삶을 행복하게 살 수 있다.

실업계 아이들 중에도 간혹 책을 읽는 아이들이 있다. 글을 쓰는 아이들도 있고...
이 책도 어떤 아이가 밑줄을 열심히 그어가며 읽은 책을 빌려 읽었다. 녀석이 열심히 밑줄 그은 부분을 보니 기특해 죽겠다.

여학생들을 가르치다 보면, 심리학에 관심이 많다. 엄격하게 말하면 심리 이야기에 관심이 많다고 할 수 있다. 여자분들에게 이 책은 인기가 있을 듯 하다.

세 개의 장으로 나뉘어, 만남, 유지와 발전, 지속을 위해 많은 사례를 들어 이야기하고 있다.

다른 사람과의 관계가 껄끄럽다면 그 자리에 누가 있었는지를 생각해 보아야 한다.
그곳에는 항상 자기 자신이 있다.
속이 뜨끔하다.

첫인상의 위력은 말할 나위도 없다. 첫인상은 만남의 지침이 되어 맥락을 형성한다. 그래서 부정적으로 보일 첫인상 제거에 관심을 두어야 한다.

인간은 이성적인 것 같지만, 상당히 감정적이다. 인간의 많은 선택은 감정이 좌우한다.
나는 사람들의 감정에 어떤 영향을 주는 사람일까?
아리스토텔레스가 에토스(긍정적 평가)가 6 : 파토스(감정에 호소) 가 3 : 로고스(논리적 근거)가 1의 비율이라고 했다는데, 일리가 있다. 감정의 영향이 가장 크다.

유치원생이 하루 300번 웃는 데 반해, 성인은 15번도 안 웃는다는 연구가 있다. 그래놓고 어린 아이를 가르치려 들다니... 한심한 어른이다.

신은 너의 내면을 보지만, 사람들은 너의 모습을 먼저 본다. 사람들을 신으로 착각하지 말자.는 말이 있다.
궁극적으로 신에게 잘 보이려고 사는 것은 아니잖은가. 천국보다는 개똥으로 구르는 이승이 낫다니...
트러블 메이커들은 차이점을 찾아서 감정적 동화를 하지 못하고 비꼬기 잘한다.
칭찬 뒤에 토를 다는 어리석음이나, 웃지 못하는 어리석음을 버리라는 조언도 멋지다.

경청에는 큰 에너지가 필요하다는 말도 들어 둘만하고, 친근감을 위해 정서적 환기 효과를 노리는 뒷담화는 스트레스 해소는 될지언정 나에게 발전적이진 않다는 것도 적어 둘 만 하다.

남의 컴플렉스를 건드리지 말라는 조언은 교단에 서는 나에게 따끔한 충고다.

교사는 교실 안의 조각가로 피그말리온에 비유된다고 한다. 아이들과도 임계 거리를 유지하며 조각함도 필요하다.

아는 것은 힘이지만, 1%는 그걸 실천한다. 잊지 말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