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시, 나무를 보다 - 전 국립수목원장 신준환이 우리 시대에 던지는 화두
신준환 지음 / 알에이치코리아(RHK) / 2014년 12월
평점 :
품절


올 여름 이사를 했다.

새 아파트여서 새집증후군 우려를 하여 제법 큰 나무를 몇 개 사들였다.

떡갈 고무나무랑, 벵갈 고무나무 같은 것들과,

자잘한 작은 화분들, 스투키와 소품같이 놓을 풀들도 샀다.

 

화분마다 2주에 1번, 월 3회 이렇게 표식을 적어 주었는데,

그걸 지키면 안 된다는 걸 배웠다.

수목원에서 나무를 옮겨 심으면 나무도 몸살을 한단다.

하긴, 사람도 이사가면 낯선데, 뿌리가 살을 부비던 흙이 바뀌면 당연히 스트레스다.

그래서 수시로 돌보고 물을 분무해 주라는 블로그 글들을 찾아 읽으면서,

집에서 나무의 도움을 받겠다는 건

나무를 돌보겠다는 것과 같은 말이라는 걸 배웠다.

 

2주에 한 번 물주면 되는 나무란 없다.

돌보다가 어느 정도 정착이 돼야 그런 원칙이 통하고,

너무 자주 물을 주지 말라는 경고 정도로 이해하면 되겠다.

 

이 책의 이야기들은 너무 크다.

아마도, 많은 경험과 이야기들을 퇴임 후에 집필하노라니

들려줄 이야기가 많아 두서없이 들릴 수 있으리라.

나도 평소에 잔소리깨나 하는 선생이란 직업을 가졌지만,

졸업식에 전해주는 통지문에는 두서없이 말만 많아지던 경험과 겹친다.

 

멸종은 어떤 생물에게는 재앙이지만

어떤 생물에게는 축복이다.

재앙과 축복의 사슬, 이것이 생명과정이다.(37)

 

수목원장을 역임한 이의 이야기이자 과학도의 이야기지만,

인간의 사소한 욕심에 시원한 생명수가 되는 이야기이기도 하다.

그런데, 나는 아무래도 사소한 인간인지라,

김훈의 '내 젊은 날의 숲' 같은 나무와 인생 이야기를 더 좋아한다.

 

광합성은 엽록소 안에서

차분하게 바닥상태에 있던 전자가

햇빛 알갱이에 맞아 들뜬 상태가 되면서 일어나는 과정.

이보다 더 적절한 디오니소스적 전희가 있을까?(101)

 

과학자의 말은 이렇다.

전자가 들뜬 상태라니...

 

생명은 모순을 논리적으로 풀어가는 것이 아니라

바로 도약해버린다는 생각이 든다.(106)

 

어쩌면 이런 것이 지식이 아니라 지혜인지 모른다.

생명에 이유는 없다.

나만 귀하고, 무시당해 좋은 천한 생명은 없다.

생명은 그저 존재하는 것으로 의미가 있다.

그런데, 나무를 보고 싶은 내겐 너무 큰 이야기였다.

심심해졌다.

 

사회 생활도 복잡한 것이 문제가 아니라

그 복잡함 속에 단순한 구조를 보지 못해서 머리아픈 것이다.(195)

 

철학을 하고 책을 읽는 이유가 이것이다.

복잡한 현상들 속에서 단순한 구조를 보려는 것.

그것이 정답은 아니지만, 적어도 설명하려는 노력은 된다는 것.

 

나무나 풀꽃 이름을 막 대는 사람은

자연을 존중하는 것이 아니라

자기가 아는 것을 자랑하는 사람.

우리는 너무 이름에 얽매인다.

생물다양성은 종들의 잔치가 아니라 온 집안 잔치다.(234)

 

나도 자랑하고 싶었던 사람이다.

그런 이야기들을 원했나보다.

그런데, 집안 잔치에 오니, 아는 사람이 없어 멍하니 앉았다.

그런 기분이다. 좀 쓸쓸하고, 좀 심심하다.

 

나무는 커갈수록 점점 더 혼자가 되어간다.

나중에 엄청난 크기로 자라면

엄청난 적막을 이겨내야 한다.

이런 적막은 묘한 울림을 자아내어

바람을 조금도 느끼지 못해도

가지 끝은 우주의 율동을 감지한다.

 

마음을 울리는 대목도 많다.

그렇지만 메를로퐁티와 들뢰즈와 하이데거가지 뻗치면,

혼자선 나무같다.

 

너무 큰 나무를 만났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