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오주석의 옛 그림 읽기의 즐거움 2
오주석 지음 / 솔출판사 / 2006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유홍준이 인문학적 시각을 넓히면서 문화 유산 답사를 강의했다면,
오주석은 우리 그림의 성공적 형상화를 찾아서 쉽고도 재미있게 강의한다.
처음 그의 한국의 미 특강을 읽었을 때는 가슴이 두근거려 한참을 혼이 났다.
옛 그림 읽기의 즐거움 1권을 읽을 때도, 정말 재미있게 읽었고, 김홍도까지 읽었다.
그러던 중, 우리에게 더 재미난 이야기를 들려주지 못하고 세상을 버리셨다.
막연하게, 한국에 대해서 애국심을 가지라고 아무리 소리쳐도, 나는 한국을 사랑할 수 없었다.
매주 운동장에서 애국가를 부르고, 태극기를 쳐다볼 때, 나는 눈이 부셔서 눈물을 흘릴 뿐이었다.
광주에서 동포를 살육하고, 세계에서 사상의 자유를 억압하여 최장기수를 양산하는 나라를 조국이라고 사랑할 수는 없는 것이었다.
십 년 월급을 모아도 집 한 칸 살 수 없고, 장군의 아들은 거지가 되고 친일파 후손은 땅땅거리며 땅부자가 되는 세상을 사랑할 수 없는 것이었다.
그런데, 오주석 선생님의 글을 읽노라면 한국인이란 것에 자부심을 갖게 된다.
형상을 극소화하면서도 상상을 극대화 하는 김홍도의 그림들을 자세히 설명하는 이야기를 듣노라면 나도 모르게 한국화의 매력에 빠져드는 것을 경험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면서도 "종이 창에 흙벽 바르고 벼슬 없는 선비로 살며 시가나 읊조린다. 단원"처럼 부박하게 살면서도 단아한 품위를 잃지 않는 선비의 모습을 통해서 한국인의 정신 세계를 바라볼 수 있게 된다.
송하맹호도처럼 우리 겨레의 상징인 호랑이를 통하여 나약하거나 패배적 민족이 아님도 보게 되고...
이 책은 고인의 유작이어서 뒷부분에 가서는 메모만 남은 부분도 있어 고인의 글을 더이상 만날 수 없음을 안타깝게 여기게 한다.
스포츠 쇼비니즘같은 광신적 애국주의를 벗어나는 길은, 우리 문화를 이렇게 알림으로써 식민지와 전쟁을 통해 내면화한 자격지심을 극복하는 데서 출발하는 것이 아닐까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