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독, 열정을 말하다 인터뷰로 만난 SCENE 인류 1
지승호 지음 / 수다 / 2006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작년 한국영화가 55% 상영되었다. 헐리우드가 맥을 못추는 곳은 드문 현상인데...

올해는 왕의 남자와 괴물에 힘입어, 77%를 넘었다는 말을 한다. 대단한 한국 영화다.

그 힘의 근원이 어디인지, 그리고 한국 영화가 왜 갑자기 품질이 좋아졌는지... 지승호가 인터뷰를 했다.

이제 '지승호'란 이름은 <성실하고 풍부한 내용의 인터뷰>의 대명사가 된 듯 하다.

그저 유명인을 만나서 허접한 일상사를 늘어놓은 여성잡지의 인터뷰를 읽고난 느낌이 시내 밥집 가서 후다닥 점심 한 끼 때우고 이도 못닦은 찝찝한 기분이라면,

지승호의 인터뷰를 읽고난 느낌은, 분위기 있는 정식집에서 정찬을 맛보고 후식까지 깔끔하게 먹고도 느긋하게 앉아서 좋은 사람들과 즐겁게 정담을 나누고 난 느낌이다.

괜히 이 감독들과 친해진 느낌이 든다. 사실 나는 유명한 영화, 흥행작만 보기 때문에 영화를 사랑하는 사람이라고 할 수는 없어서 이 책에서 아는 사람이라곤 봉준호와 류승완 정도였다.

한국 영화가 지금처럼 잘 나가는 이유가 뭘까?

이 책을 읽고 그 이유를 두 가지 정도로 생각한다. 하나는 <학연>이 파괴된 곳이기 때문이고, 또 하나는 세대 교체에 어렵게 성공했기 때문이다.

한나라당을 지지하는 꼴통들이 영화를 만들지 않는 것은 참으로 다행스런 일이 아닐 수 없다.

젊은 감독들이 다양한 시도를 하고, 차츰 시스템을 만들고 하는 것을 읽으면서 한국의 희망을 발견할 수도 있다는 생각을 한다.

물론 아직도 77%라는 수치는 수치에 불과할 뿐이고, 촬영 현장의 열악함을 끝도 없이 지적된다.
시스템의 부재와 영화 배우나 과장된 광고에 의한 인기도는 아직도 한국 영화가 풀어야 할 과제다.

톱스타가 아니더라도 성공하는 동막골, 왕의 남자가 좋은 징조이기도 하지만, 언제부턴가 한국 영화를 보고 나오면서 돈 아깝다는 더러운 기분은 상당히 날려준 것 같다.

황정민의 연봉 300만원 받으면서도 행복했다는 이야기는 우리 영화판이 얼마나 열악했던지를 대변해주는 명언으로 남았다.

취향이 분화된 듯 하지만 소신 없이 입소문을 타고 극장을 찾는 관객의 허접합을 탄식하기도 하고,
스크린 쿼터에 대해서 진지하게 고민하지 않고, 외제차 타는 넘들의 밥그릇 찾기로 매도하는 무식한 한국인들에게 쓴소리도 날린다.

인간의 영혼을 바꿀 수 있는 감독은 존경스럽지만, 인간의 기분을 바꿀 수 있는 감독은 좋아할 만하다... 던 김지운 감독의 말은 매일 수업을 하면서 수업의 소중함을 잊고 사는 내게 큰 화두를 던져 준다.

등화관제 되어 버린 어두운 한국에서 언제 범인을 맞닥뜨릴 지 모르는 공포스런 상황을 맞는 여중생같은 심정으로 영화를 만드는 외로운 감독들. 그들에게서 희망을 읽었다. 고맙게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