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정 - 20세기의 스무 가지 교훈
티머시 스나이더 지음, 조행복 옮김 / 열린책들 / 2017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미국도 드디어 폭정의 사회가 되었다고 느끼는 모양이다.

이런 책이 나오는 것을 보면.

 

이 책은 아주 가볍게 읽을 수 있다.

하나도 어렵지 않다.

민주주의가 훼손당할 때,

깨어있는 시민의 힘이 필요하고,

광장에서 외치는 동지가 필요하다는 아주 뻔한 이야기이다.

 

역사를 만드는 데 나서지 않는다면,

정치인들이 역사를 파괴할 것이다.

역사를 만들려면 뭔가 조금이나마 알아야 할 것이다.

이것은 끝이 아니라 시작이다.

 

시기가 어긋났군. 아 빌어먹을 팔자.

이를 바로 맞추기 위해 태어나다니.

햄릿은 그렇게 말했지만 이렇게 결론내린다.

자, 이제 그만 다 같이 들어가세.(163)

 

미국이 과연 민주주의 국가일까를 깊게 고민해 본다면,

군산복합체로서 군사 경쟁을 앞서 실천하고 각종 전쟁을 성실하게 수행한 국가로,

남미와 한국 같은 주변국가에 행한 정치간섭 및 암살, 쿠데타 지원 국가로

돌아볼 점이 많을 것인데...

 

지난 세기의 나치의 학살, 공산주의자들의 폭정 등을 돌아보면서,

트럼프의 폭정에서 벗어나자고 외치는 외침은 한편만 바라보는

백인의 입장이 아닐까 싶기도 하다.

 

애국자는 국민이 그 이상에 따라 살기를 원한다.

우리에게 최선의 존재가 되라고 요구한다는 뜻이다.

애국자라면 현실 세계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

현실 세계는 그의 나라가 사랑받고 유지될 수 있는 유일한 공간이기 때문이다.

애국자는 보편적 가치를, 즉 자신의 나라를 판단하는 기준을 갖는다.(149)

 

애국이라는 말이, 국가주의와 무슨 차이가 있는지 나는 모르겠다.

한편 좋아보이는 애국이라는 말이,

약한 민족, 약한 국가에게는 무력 행사도 서슴지않는 힘이 된다는 것을 생각할 여유까지는 없어 보인다.

 

결국 거리에서 결실을 맺지 않는 어떤 항의도 현실이 되지 않는다.(109)

 

이것을 한국인들처럼 잘 아는 사람들은 없을 것이다.

TV에서 보여주는 대선 후보들의 모습들은

아직도 이 땅의 민주주의는 멀었음을 보여준다.

언젠가는 트럼프와 비슷한 시골 할아버지의 술주정이 취임하는 날이 올는지도 모른다.

 

자발적인 시민들이 주도한 것처럼 보이더라도

알고 보면 정당이나 지도자 개인이 조직한 경우가 대부분이다.(57)

 

우리도 일베, 엄마부대, 어버이연합, 박사모, 탄기국 등의 단체들을 목도하고 있다.

동원된 것이 분명한 조직들을 뒤에서 후원한 것은

이명박의 촛불집회 대응책에서 비롯된 것일 듯 싶다.

국정원과 총리실 산하의 조직적 대응은 국정조사를 통해 철저히 응징해야 한다.

 

한국 현대사의 민주주의 역사를 미국 학자들이 공부할 날이 멀지않은 듯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