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춘기담 사계절 1318 문고 95
이금이 지음 / 사계절 / 2014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기담...

괴담이나 거기서 거기인 이야기들이다.

 

헐리우드 귀신 영화는 청춘남녀가 야리꾸리한 분위기일 때 귀신이 등장하는데,

한국 영화에서는 야자 마치고 집에 가는 아이들 앞에 귀신이 등장한다.

불쌍한 청춘들이다.

 

푸르른 봄날...을 뜻하는 청춘은,

풀나무에서 꽃으로 대표되는 성적인 시기여야 마땅하다.

서로 관심을 끌기에 여념이 없고,

성적인 호기심에 나날을 보내는 것이 정상적인 것 아닐까?

 

초등학생부터 학원에서 나날을 보내야 하는 불행한 아이들부터,

뭔가 제 궤도가 아닌 듯 삐그덕거리는 방외의 삶을 살아야 하는 아이들까지,

이 사회에서 남녀 학생들의 청춘의 메시지는 찾기 힘들다.

 

그래서 대학을 가거나 어른이 되면,

커플이 아닌 것에 대하여 무진장 콤플렉스를 갖게 되는 반면,

결혼도 육아도 행복도 포기해야 한다는 세대를 탄생시킨 것은,

우리 기성세대들이 만든 잘못이다.

 

민주화되지 못한 세상 탓도 있지만,

급작스런 경제적 호황과 고학력자 양성에 맞물린

역사상 유례를 찾기 힘든 부동산 투기와 부정부패 정부를 가진 국민으로 살기 위해

아이들을 공부, 학교, 학원이라는 틀에 가둔 것이 이 나라의 청춘들에게 열린 세상이다.

 

수학여행 가던 배가 뒤집어지고

한차례의 구조 시도조차 없이 수장되고 말았던 청춘들 앞에서

기성세대는 많이 울었다.

해마다 100명이 넘는 자살 학생들 앞에서 청춘은 푸르지 않다.

 

이금이 선생님은 언제나 아이들의 삶에 관심을 기울인다.

애늙은이를 만드는 학원에 보내는 고찰, <나이에 관한 고찰>을 청소년이 읽는다면

자신의 나날과 겹쳐보이는 구부정한 척추측만이 비칠지 모른다.

<유니하우스>라는 게스트하우스 이야기에서는

한부모 가정과 입양이라는 복잡한 세계를 투영한다.

<검은 거울>에서는 입장을 바꿔볼 수 있는 장치를 통해

어른의 삶을 조망할 수 있는 기회를 부여하며,

<1705호>는 이 세상에 만연한 고층 아파트 붐과 상호 무관심,

그래서 늘어난 실패하지 않는 자살, 투신...이라는 이야기를 섬뜩하게 들려준다.

<셔틀보이>는 휴대폰을 손에 놓지 못하는 세상의 아이들이 입을 상처와

그 아이들이 겪을 빈부격차 같은 것이 고스란히 묻어난다.

<천국의 아이들>에서 푸른머리 소녀와 블루라는 고양이를 통해

저세상으로 가버린 아이들을 그리워할 수 있는 통로를 마련해 주기도 한다.

 

여섯 편의 짧은 이야기들은

<괴담> 수준의 이야기들은 부분적으로 보이지만,

박민규 말마따나,

이 땅에서 사는 한, 청춘은 없다...는 것이 현실이고 보면,

청춘으로 사는 그것 자체가 <기담>이 되어버리는 거라 생각하니 마음 한켠이 시리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