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벼운 나날
제임스 설터 지음, 박상미 옮김 / 마음산책 / 2013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표지가 좀 묘하다.

젊은 여성이 비스듬하게 정면을 응시하는데,

옷차림은 혼자서 침실에 앉은 편한 차림이다.

 

젊은 날들은 가벼이 지나간다는 의미일지,

라이트 이얼즈는 '광년'의 속도로 지나가는 삶을 상징할 수도 있겠다.

 

이 모든 것이 제각각이면서도 밀접하게 엮여 있고,

보이는 것과 달랐다.

실제로 이 세상엔 두 종류의 삶이 있다.

사람들이 생각하는 당신의 삶, 그리고 다른 하나의 삶,

문제가 있는 건 이 다른 삶이고 우리가 보고 싶어하는 것도 바로 이 삶이다.(51)

 

긴박한 스토리의 소설은 아니다.

심심하고 진지하지 않은 날들이어서

지루하다.

간혹 읽을 법한 문장들을 만날 뿐이다.

 

완전한 삶이란 없다.

그 조각만이 있을 뿐.

우리는 아무것도 가질 수 없는 존재로 태어났다.

모든 것이 손가락 사이로 빠져나간다.

그런데 빠져나갈 이 모든 것들,만남과 몸부림과 꿈은 계속 퍼붓고 흘러넘친다

우리는 거북이처럼 생각을 없애야 한다.

인생은 선택의 문제고, 선택 자체가 중요한 게 아니라

되돌릴 수 없을 뿐. 마치 바다에 돌을 떨어뜨리듯이... (67)

 

내가 좋아하지 않는 소설들이다.

소설 속에서는 타인을 통해 카타르시스를 느끼게 되는 게 좋다.

스릴있거나 범인을 좁혀가는 이야기도 좋다.

이렇게,

가벼운 나날들을 늘어놓는 것은 싫다.

취향의 문제이리라.

 

날들은 온기를 잃었다.

때로 정오가 되면 작별인사를 하듯

한두 시간 여름같다가 금세 온기가 사라졌다.(119)

 

이제 냉기를 잃는 시간이지만,

한두 시간 봄같다가 온기가 사라지는 저녁은 비슷하다.

표현에서 배울 점은 많은 듯하다.

 

인생에서 마지막으로 찾아오는 중요한 깨달음 하나는

꿈꾼대로 살 수 없다는 것이었다.(325)

 

세상을 험하게 사는 사람들은,

러프한 나날들을 보내는 사람들은,

인생의 초입에서 이미 깨닫는다.

그래서 그들에게 '포기하지 말라'는 말은 무의미할지도 모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