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골빵집에서 자본론을 굽다 - 천연균과 마르크스에서 찾은 진정한 삶의 가치와 노동의 의미
와타나베 이타루 지음, 정문주 옮김 / 더숲 / 2014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드디어 몇달만에 서재 사진을 바꿨다.

권력자가 구속되어야 민주주의가 온다는 말도 바꿨다.

구속되었기 때문이다.

대한민국 촛불에 어떤 평화상보다도 명예스러운 역사가 남을 것이다.

 

책의 일본어 제목은 いなかの パンヤが みつけた <くさる けいざい>이다.

시골의 빵집이 발견한 <썩는 경제>

 

이 책에서 '부패'는 아주 긍정적 의미로 쓰였다.

인간의 얄팍한 기준으로 부패와 발효를 나누지만, 사실 똑같은 현상이다.

 

한국 경제가 부패했다고 하지만, 그것은 권력자들이 자신들의 세력을 공고화하고자 했던 것일 뿐이다.

부패는 고착시키지 않는다.

새로 계속 변화시키고 새로운 세상을 만든다.

GMO로 개발한 것들은

얼마나 멀리 보낼 수 있는가,

얼마나 오래 보존할 수 있는가를 따진다.

썩지 않아야 돈이 되기 때문이다.

 

세상은 더 자유롭게 부패하고 발효해야 한다.

가진자들만의 공고한 '앙시앵 레짐'을 더 말랑말랑하게 분해해야 한다.

 

비참한 사회 사회 상황을 향한 분노와 슬픔이 자본론을 쓴 동기(43)

 

이렇게 마르크스를 읽으면서 빵집을 연다.

한국 사회야말로 자본론을 읽어야 할 땅이다.

 

기술 혁신은 겨ㄹ코 노동자를 풍족하게 만들어주지 않는다.

자본이 노동자를 지배하고

보다 많은 이윤을 얻기 위한 수단일 뿐이다.(65)

 

맞다. 이노베이션은 언제나 자본가의 편이다.

우리는 휴대폰을 통해서 1가구 1인터넷에서

1인 1인터넷의 비용을 자본가에게 바치고 있다.

 

제가 아는 제빵사는 대부분 코가 안 좋거나

피부가 상하더라고요.

잔류 농약 때문 아니겠어요?(78)

 

일터에서 이런 문제점을 인식하는 것이 중요하다.

세상은 모두 연결되어 있기 때문이다.

 

일주일에 사흘은 가게를 닫고

일 년에 한 달은 장기 휴가를 간다.(111)

 

좋은 가게다.

그렇지만 그들은 후쿠시마 원전 사고 이후,

물좋은 공간으로 이동한다.

인간이 더 겸손해져야 한다.

 

이 나라도 빵처럼

좀더 향기롭게 발효되었으면 좋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