망각과 자유 - 장자 읽기의 즐거움
강신주 지음 / 갈라파고스 / 2014년 4월
평점 :
품절


날마다 박-최 게이트로 시끄럽다.

그들은 왜 욕을 먹을까? 원래 못된 인간들이었다면, 작년에도 욕을 먹었어야 했다.

그들이 저지른 악행이 드러나고 있기 때문에 욕을 먹는 것이다.

그것도 세월호처럼 잔인한 일도 엮여있기 때문에, 김기춘, 우병우 등도 함께 죽일놈이 되는 것이다.

 

그들이 걸어온 길이 그들에게 손가락질을 하게 만드는 것이지, 그들은 원래 욕먹고 있지 않았던 인간들이다.

강신주는 장자의 몇 가지 이야기를 통해서,

장자가 가리키고자 하는 달은 무엇이었는지를 탐사한다.

딱, 그만큼 의미가 있는 책이다.

 

춘추 전국시대의 혼란상은 날마다 전쟁이고 참혹한 현실이었을 게다.

이때 정치를 바로잡기 위해 백가쟁명이 나선다.

누구는 인의예지로 질서를 잡자고 하고,

누구는 자연의 법도로 정치를 하자고 하고,

결국 법가의 처벌정치가 진시황의 마음에 들고 만다.

장자는 이야기를 늘어 놓는다.

그 이야기는 그야말로 이야기여서 다양한 해석을 낳는다.

이야기만으로 통용되기도 하고,

조삼모사는 남을 속이는 사람을 빗댄 것으로, 호접몽은 인생의 무상함으로 흔히 이야기된다.

 

그렇지만 장자라는 책 속에 담긴 것 역시 정치철학이어야 할 것이고,

어떻게 정치하라는 것인지 따져봐야 한다는 모토를 가지고 이야기를 살핀다.

이 책은 장자 전체에 대한 고찰이 아니다.

 

몇 가지 이야기로 장자를 읽는 방식 내지 시선을 제시하는 책이다.

좀 억지스러운 점도 있고, 불필요하게 하이데거나 베르그손, 사르트르가 맥락없이 튀어나와 점유하기도 한다.

그렇지만 강신주처럼 장자를 읽을 필요도 있다.

 

길은 원래 있던 것이 아니다.

<도행지이성>이 장자의 전체 주제라 할 만하다는 이야기다.

그것을 행함으로서 만들어지는 것, 그것이 '도'이다.

 

올바른 정치란?

좋은 정치란?

없다.

다만, 그것을 행했을 때 좋은 결과가 만들어지는지 어떤지를 따져봐야 하는 것이다.

담뱃값을 올려서 국민 건강이 좋아지는 결과를 얻었다면? 그것은 잘한 일인 것이다.

그렇지 않고 청와대라는 기관을 삥땅처로 활용했을 때는 그것은 욕듣고 감방갈 일인 것이고.

 

사르트르의 '존재와 무'와 '무 고금'을 마주 놓는다.

사르트르의 '무'는 인간에게는 미리 주어진 본질이 없고,

그래서 인간은 본질을 만드는 존재.(178)라는 것.

'옛날과 지금'을 없앤다는 것은,

기억, 지각, 기대라는 역량이 창출하는 시간의식을 제거하는 데 있다.(194)고 한다.

 

바닷새에게 잔치를 베풀다 죽이고 마는 노나라 임금의 의도는 좋았으나, 참혹한 결과를 낳고 말았다는 것.

유아론적인 사고는 결국 비극을 부를 수도 있음에 대한 경고로 읽는다면,

나비가 나인지, 내가 나비가 된 것인지의 '호접몽'도 그저 상대적인 시선이 아니라,

결국 어떤 결과를 낳는 삶을 살아갈 것인지를 생각하게 하는 이야기가 되기도 한다.

 

'저것'과 '이것'은 진실로 존재하는 것일까?

아니면 존재하지 않는 것일까?

'저것'과 '이것'이 짝이 되지 않는 경우를 '도추'라고 한다.

한번 그 축이 '원의 중심'이 되면 그것은 무한한 소통을 하게 된다.

그렇게 되면 '시'도 '비'도 하나의 무한한 소통이 된다.(115)

 

박근혜가 악마면 문재인은 천사일까?

문재인이 갑갑한 고구마면 이재명은 사이다일까?

이렇게 생각하는 것을 인지 부조화로 본 장자.

중요한 것은 '도추'의 자리에 서 보라는 것이다.

 

양시론이나 양비론이 아니라,

핵심을 꿰뚫는 자리에서 바라보는 시선.

한쪽에 치우치지 않고, 올바름의 관점에서 욕심을 내려놓으면 바라보이는 곳.

 

강신주의 복잡한 이야기 속에서 장자의 시선을 조금이라도 느끼게 되어 좋은 책.

 

희망이란 본래 있다고도 할 수 없고 없다고도 할 수 없다.

그것은 마치 땅 위의 ""과 같은 것이다.

사실 땅위에는 본래 길이 없었다.

걸어가는 사람이 많아지면서 곧 길이 된 것이다. <루쉰, '고향' 중에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