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우리는 현재다 - 청소년이 만들어온 한국 현대사
공현.전누리 지음 / 빨간소금 / 2016년 12월
평점 :
국제사회에서 청소년(Youth)은 13~24세를 일컫는다.
그래서 대학을 졸업하고도 만 24세가 되기까지는 유럽에서 반값 유스패쓰를 이용할 수도 있단다.
그러나 한국에서는 '성인' 요금을 내야 영화를 볼 수 있는 호갱님인 한편,
참정권도 없고, 교복 안에서 타율학습의 인고의 시간을 보내는 것이 현실이다.
지난 9월에 나온 '교육공동체 벗'의 <인물로 만나는 청소년 운동사>와 함께 읽으면 좋은 책이다.
작가는 같은 사람이다.

전에는 청소년들이 교과서 틀 안에 갇혀서 자기 목소리를 내기 힘들었다.
그리고 언론에서 '전두환 가카 만세'를 외칠 때, 나도 그가 위인인 줄 알았다.
실제로 교과서에서도 가카와 함께 좋은 나라를 만들거라고 쓰여 있었고,
대학에 가셔야 '백기완', '리영희' 선생의 글을 읽으며 세상이 녹록치 않음을 알게 된 것이다.
요즘엔 그야말로 손가락질 몇 번이면 지식이 튀어나오는 세상이다.
이승만의 치부를 조사하는 일도, 국정 교과서의 부조리함을 조사하기도 참 쉽다.
아이들에게 조사하고 탐구하는 교육(R&E)이 중요한 시점인 것이다.
그런데도 아직 청소년을 아기 취급하는 자들이 있다.
청소년들의 현실 참여를 비하하려는 정미홍 같은 인간이 방송을 탄다.
그저, 관심 종자 이상 아무것도 아니지만,
그 인간은 '세월호 청소년 6만원' 같은 소리를 지껄이는 걸로 보면,
많이 모자라거나, 그런 것으로 세상을 바꿀 수 있다고 믿는 평범한 악인인 듯 싶다.
이 책에서는 3.1운동과 학생의거, 그리고 역사의 격동기마다 굽이쳤던 학생 운동의 역사를 적고 있다.
고등학생의 움직임이 중심인데,
4.19, 광주 항쟁, 전교조 탄압기, 두발 투쟁 및 인권조례기, 광우병 촛불 집회 등의 기록이 담겼다.
좀 아쉬운 점은 서술에 일관성이 없다는 점인데,
청소년 운동의 한 측면을 기록한다는 일에 무게를 둘 수 있다.
청소년들과 날마다를 보내는 사람으로서 무거운 마음으로 읽었다.
작가가 더 오래 이 문제에 몰입해서,
진짜 청소년 기인 대학생 문제까지도 연결지어 주었으면 좋겠다.
세월호가 침몰한 이후,
아이들을 바라보는 내 눈은 그저 가엾게만 보였다.
아이들이 공부를 해도, 고민을 해도, 이런저런 일로 울어도 다 안쓰러웠다.
사는 일이 그렇게 힘든 것이다.
그렇지만, 살아 있으니 울기도 하고, 고민도 하는 것이다.
이 추악한 국가에서
청소년과 함께 살아온 내 교사 생활은 참 부끄럽다.
인터넷에서 '자로'라는 이름으로 활동하는 이가 있다.
세월호 아이들에게 크리스마스 선물을 준비했다 한다.
25일에 공개하겠다 하고, 티저 영상을 준비했다.
<세월호 사고 시각 8시 49분에 무슨 일이 있었을까>
눈물로 보아야 할 영상이 될 듯 싶다.
http://zarodream.tistory.com/2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