셀 7 7 시리즈
케리 드루어리 지음, 정아영 옮김 / 다른 / 2016년 9월
평점 :
절판


법관이 법정에서 피고인을 재판하는 사법 제도가 폐지되고, 국민들이 직접 재판하는 제도가 도입된다. 특히 살인 혐의가 있는 피고인은 ‘7일의 정의 법’에 따라 7일 동안 TV 뉴스쇼에 신상이 공개되고, 시청자들은 전화, 문자, 인터넷을 이용해 무죄 혹은 유죄에 투표한다. 그리고 7일째 날 최종 집계 결과 유죄가 나오면 즉시 사형을 집행한다. 이 모든 과정은 각종 미디어를 통해 실시간으로 대중에 공개된다.
빈민가 출신의 열여섯 살 소녀 마사 허니듀가 전 국민의 사랑을 받던 유명인 잭슨 페이지를 살해한 혐의로 체포되어 1번 수용실에 수감된다. 마사는 ‘국민적 영웅’을 죽인 ‘최초의 10대 여성 수감자’로 스포트라이트를 받으며 대중 매체에 의해 소비되고, 투표가 이루어지는 7일 동안 매일 수용실을 한 칸씩 옮기며 전기의자가 있는 7번 수용실로 향한다. 마사는 자신이 잭슨 페이지를 죽였다고 말해 사실상 사형이 확실시되지만, 마사의 상담을 맡은 상담사는 마사가 뭔가 감추고 있음을 직감하고 비밀을 추적한다. 그리고 그 과정에서 상담사는 소름끼치는 음모를 마주하게 된다.
(알라딘 책 소개)

 

조지오웰의 '빅 브라더'같은 디스토피아 스토리는 슬프고도 두렵다.

왜 제도는 괴물이 되는 것이며,

인간은 그 제도의 희생물이 되지만 극복하지 못하는 것일까...

 

논어에 '조문도면 석사가의'라는 말이 있다.

아침에 도를 들으면 저녁에 죽어도 마땅하다는 말이다.

요즘 나이가 들었는지, '지천명'과 연결지어 이 말이 이해가 될 듯도 하다.

'조문도 석사가의'는 죽음을 두려워하지 않는 태도에 가까운 것이 아닐가 싶다.

비록 천명이 죽음일지라도, 그것의 자연스러움을 알게 되고,

그것을 알게 되면 두려움이 없어질 것이라는... 생각을 해 본다.

그렇게 되면 죽음도 소풍 마치고 집으로 돌아가는 마음으로 가벼이 맞을 수도 있지 않나 싶고...

 

지나간 것은 지나간 대로

그런 의미가 있죠.

후회없이 사랑했노라... 떠난 이에게... 말하자는 노랫말처럼,

삶은 그렇다는 듯.

 

이건 사법제도가 아니에요.

그 사람들이 자기들 멋대로 해석한 정의고, 사법이죠.(115)

 

고 백남기 농민의 사인에 대한 공방이나,

청와대를 둘러싼 재단 등의 잡음에 대하여, 법적인 흐름에 대하여...

이런 것은 사법제도가 아니다.

괴물들에게 사법제도는 의미가 없다.

 

고 백남기 농민의 사인은 '공권력의 남용'으로 인한 폭력이었다.

당연히 외인사에 해당한다. 논란의 가치도 없다.

그렇지만, 요즘 언론을 보면, 병이 깊어도 많이 깊다.

그 죽음은 외인사지만,

그 죽음을 둘러싼 작금의 사태는 <국가의 깊은 병>에서 기인한 오래된 상처가 덧난 것일 뿐이다.

나라 전체가 병들어 거짓이 거짓을 낳고,

거짓으로 거짓을 가리려고 애를 쓴다.

 

열여섯 소녀의 상담을 맡았던 사람의 말.

 

저는 절망에 빠진 젊은 여성을 봤습니다.

분노, 좌절, 광기, 추악, 탐욕... 그 어느 것도 보지 못했습니다.

저는 구석에 몰린 젊은 여성을 봤습니다.

이 여성은 삶이 자기 앞에 던져놓은 모든 것에 맞서 싸우고, 싸우고, 끝까지 싸웠지만

더 이상 감당할 수 없어지자

'씨발, 될대로 되라 그래' 하며 자포자기하게 된 것입니다.(351)

 

지진이 일어나도 반성할 줄 모르는 국가 시스템.

아니, 세월호 아이들을 죽이고도 변하지 않는 그 괴물.

어제 태풍으로 물난리가 났어도 눈도 끔쩍 않는 그 괴물 앞에서,

사람들의 마음은 분노와 좌절을 넘어 자포자기가 되지나 않을는지... 두렵다.

 

세상에서 제일 센 건 권력이야.

누구든 권력을 가진 사람은 자기 마음대로 할 수 있어.

그 사람들이 권력을 쟁취한 과정은 합법적이고 정당할지도 몰라.

하지만 어떻게 권력을 유지하고, 키우고, 행사하는가 하는 문제는 다르지.(221)

 

권력의 문제에 직접 문제를 제기한다.

권력은 인간을 초라하게 만들고 비천하게 만든다.

 

제대로 된, 공정한,

모두를 위한 정의로운 사법 제도가 있어야 해요.

돈 많은 사람만을 위한 정의가 아니라.(403)

 

마사는 어린 소녀지만 자기 목숨을 담보로

사람들을 일깨우는 자리에 이른다.

 

이 나라의 사법 제도는 제대로 작동하고 있지 않습니다.

온갖 부정부패로 가득합니다.

일부 사람들만이 비용을 감당할 수 있는 투표로 결정해서는 안 됩니다.

우리에게는 변화가 필요합니다.(416)

 

이 소설은 환상 속의 미래 소설이다.

그런데도 마치 우리가 처한 비극적인 현실을 그대로 반영한 듯한,

<내부자들>의 가상 시나리오가 현실과 구분가지 않는 요즈음...

슬픈 마음으로 읽어야 했던 책이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16-10-06 22:56   URL
비밀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