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명
김숨 지음 / 현대문학 / 2016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것이 문학의 역할이다.

삶이 행복하지 못한 순간이 극도로 심각할 때,

문학 속에서 그 문제가 살아 나와야 한다.

 

그런데, 문제가 어느 정도 심각할 때는

유머를 통해 돌려 말할 수도 있지만,

너무도 심각할 때는 '고발' 자체가 문학이 될 수도 있다.

 

유태인은 '홀로코스트'를 고발하는 문학을

미국에서 뒷받침하는 힘을 입고,

이스라엘이라는 폭력국가의 배경으로 상업화해왔다.

 

한국이라는 나라는,

부끄럽게도 정부가 '위안부 문제'를 덮어 버리려 한다.

일본이 십억엔정도의 돈을 한국으로 부쳤고

친일파 정부는 '재단'을 만들어 그 돈을 받았다.

 

http://blog.naver.com/pinkwalking/220805752785

<손석희 앵커브리핑, 양보해다오, 사람이 울 차례다>

 

기레기들은 뉴스에서 보도하지도 않는 위안부 문제.

아마도 내년도 국정 교과서에서 '위안부는 창녀'라고 나와있는지도 모르겠다.

이렇게 밀어붙이는 걸 보면...

 

다시 살라고 하면 못 살 것 같은 그 시절이,

그런데 여자에게는 사는 것처럼 살았던 시절이었단다.

 

이웃집 여자가 자정 넘도록 재봉틀을 돌리고

새벽 다섯 시면 일어나 도시락을 여섯 개나 싸야 했다던 시절을 회고하며 하는 소리를 들은 그녀.

'또 한 명'의 할머니는

자신의 과거를 돌아본다.

다시 살라고 하면 못 살 것 같은 그 시절의 비교...

 

만주 위안소에서 소녀들은 닭이나 염소같은 가축이나 마찬가지였다.

 

이 소설을 틈틈이 e-book으로 읽었다.

줄거리도 없고, 감동도 없는,

하염없는 아픔만이 그득한 책이어서 그만 보고도 싶었지만,

보아야만 할 것 같았다.

그들이 덮으려고 하는 문제를 덮어서는 안 되겠기에.

 

곧 철거반원을 데리고 들이닥칠지 모르는

일본 대사관 앞 소녀상의 눈물을 생각하면서...

 

어릴 때 그녀는

인간에게 두려운 게 어둠이나 가뭄, 홍수같은 천재지변인 줄 알았다.

열세 살 이후로 인간에게 가장 두려운 게 인간임을 알게 되었다.

 

열세 살..

그 어린 것들을 이십만이나 데려갔단다.

그리고 이만명이 돌아왔다 한다.

 

그러나 이만명이 돌아왔다 해도 그들은 제대로 배우지도 못했고,

국가가 자신들을 위해 어떤 일을 하고 있는지도 몰랐다.

이제 다들 돌아가시고,

언젠가는 마지막 한 명이 남게 되리라.

 

나도 피해자요.

 

이렇게 말할 수 있는 사회를 만들어야 한다.

피해자가 도리어 부끄러워 숨어야 하는 나라는 나라가 아니다.

 

일본군 '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한 정기 수요시위(日本軍 慰安婦 問題 解決을 爲한 定期 水曜示威)

 

1991년 광복절 전야 김학순 할머니의 증언 이후,

1992년 1월 일본 총리가 방한하는 것을 계기로 만들어진 수요시위는

26년째 이어지고 있으나,

문제 해결은 커녕, 문제의 골만 더 깊어가고 있다.

 

이 책을 널리 읽혀야 한다.

이 책을 널리 가르쳐야 한다.

친일파들이 국가의 기강을 흔들면서 '건국절' 운운하는 데는,

이승만 일파와 박정희 독재의 행태를 미화하기 위한 것이기도 하고,

동시에 이전의 친일 행각을 감추기 위한 것이기도 하다.

 

김숨 작가에게 감사를...

 

http://tvpot.daum.net/mypot/View.do?clipid=74000499&playlistid=5166214

 

<고 김학순 할머니 인터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