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안녕 주정뱅이
권여선 지음 / 창비 / 2016년 5월
평점 :
요즘 핫~한 작가들보다 깊이있는 작가를 읽었다.
젊은 작가들의 이야기에서 아직 익지 않은 겉저리같은 맛을 보았다면,
권여선의 작품에서는 묵은지같은 깊은 '사람'을 만나게 된다.
'이모'의 삶에서 느끼는 비애나,
'봄밤'에서 읽게 되는 삶과 죽음의 의미, 존재의 이유 같은 것들을,
아직 어린 작가들은 직접 말하는데,
권여선은 '인물'로 그려서 보여준다.
단편이 만들어내기 힘든 경지인데,
그들은 술을 마시면서 한 세상을 살아 간다.
'카메라'가 갖는 사람의 의미에 드러난 것과 감춰진 것들,
'층'이 보여주는 인격의 다양한 층위, 건장한 몸과 맛깔난 음식과 감춰진 성격...
작가가 '봄밤'이란 제목을 그리도 사랑했다 했지만,
역시 편집자들의 '주정뱅이'가 판매에는 일조한 모양이다.
인생은 '봄밤'의 아스라한 으스름달과 같이
우수 속에 흐르는 감미로운 엘레지에
꺽꺽거리며 우는 소리처럼 가슴답답하게 하는 건지도 모르는데,
'그들'의 사랑처럼, 갈곳 모르고 표류하는 것인지도 모르는데,
책팔기엔 '봄밤'보다 '주정뱅이'가 더 쎄니깐.
우리를 술푸게 하는 것들...은,
안톤 슈낙의 <초추의 양광>이기도 한 것이니깐.
성가시고 귀찮은 것이 삶이고, 인간이다.
부박한 인간 사이에서 남의 손바닥에 상처를 남긴 여자가,
자신의 손바닥에 상처를 남긴다.
그저, 삶은 그런 것이다.
죽이지 않은 게 어디냐면서 위로받는 것.
“나도 애초에, 이렇게 생겨먹지는, 않았겠지.
불가촉천민처럼, 아무에게도, 가닿지 못하게. 내 탓도 아니고, 세상 탓도 아니다.
그래도 내가, 성가시고 귀찮다고, 누굴 죽이지 않은 게, 어디냐?
그냥 좀, 지진 거야. 손바닥이라, 금세 아물었지.
그게 나를, 살게 한 거고.” (이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