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속 깊은 이성 친구
장자끄 상뻬 지음, 이세욱 옮김 / 열린책들 / 1998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이성일까? 친구일까?
그 이성 친구가 속까지 깊다면 금상 첨화가 아닐까?
이성이라고 사랑을 나눌 수 있는 건 아니다. 이성이라고 다 끌릴 수는 없기 때문이다.
이성이면서 친구가 될 정도로 정서가 어울려야 한다.
자신이랑 이성 친구가 되어 주면서 속 깊은, 사려 깊은 사람을 만난다는 일은 행복한 일이다.
그런 친구와 평생 좋은 친구 사이를 유지할 수 있다면 얼마나 좋으랴만,
이성과 지켜야 할 선이 있는데, 그 선의 위치는 사람마다 다르고,
친구와 지켜야 할 것이 있는데, 그 것은 마음 속에 있어서 보이지 않고,
속 깊은 배려도, 그때 그때 다를 수 있는 것이어서, 우리는 숱한 <속 깊은 이성 친구>를 놓치곤 한다.
그러면서, 놓친 이성 친구를 아쉬워 하면서 다른 한 눈으론 또 새로운 이성 친굴 바라본다.
저 친구가 속 깊은 이성 친구가 아닐까 하면서...
사람들이 첫눈에 끌릴 때는 자신과 다른 점이 돋보여서 사랑에 빠지지만,
익숙해지고 나면, 자신과 다른 점에 못 이겨서 헤어지게 된다고 하는데...
그만큼 속 깊은 이성 친구와 행복하게 지내기는 쉬운 일이 아니다.
세상에서 가장 먼 거리가, 냉정과 열정 사이... 그 거리라는데, 이성적으로 사고하는 두뇌와 감성적으로 판단하는 마음 사이의 그 거리.
속 깊은, 이성, 친구...는 이 거리를 오락가락 하기 때문에 늘 명쾌하지 못하고 뿌연 황사가 낀 듯, 또는 안개가 자욱하기도 하고, 혹은 유리창 너머로 번득거리며, 간혹 내 옆에 있지만 그리운 마음이다.
그의 사랑 이야기들은 달콤하기도 하고, 쌉싸롬하기도 하다.
달콤한 눈물도 있고, 쌉싸롬한 웃음도 있다. 그게 인생이고, 그렇게 사랑하는 게 인생일는지도 모르겠다.
그의 그림에는 이성도 있고, 어린 아이도 있다.
서로 마주 보기도 하고, 같은 방향을 지향하기도 한다.
때론 이미 지나쳐 버렸고, 때론 아직 서로를 찾지 못하고 있다.
그렇지만, 그의 그림 속의 그들은, 남자든, 여자든, 아름답다.
그들이 쌉싸롬한 감정이든, 달콤한 감정이든, 친구가 앞에 오든, 이성이 앞에 오든... 아름다운 사람들, 아름다운 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