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거짓말이다
김탁환 지음 / 북스피어 / 2016년 8월
평점 :
왜?
도대체 왜?
해경은 기울어진 배에 가서 퇴선 명령을 내리지 않았을까?
아니, 왜, 선장은 '가만 있어라'고 했을까?
왜 전원구조의 오보가 났으며 555명의 잠수사가 열나 구한다고 뻥쳤을까?
기레기들은 왜 씨부렁거리며 거짓 기사를 옮겼을까?
왜 선장을 경찰서 아닌 해경 아파트에서 조사했을까?
왜 특조위 활동을 방해하고, 무마하려 난리들일까?
왜 대통령은 30초가 넘도록 눈을 부릅뜨고 열연의 눈물을 흘렸을까?
20140416이 지난지 2년하고도 4개월인데,
세월이 흘러도 세월의 진실은 삭아가기만 기다리는지도 모른다.
그러나,
박주민 변호사는 국회의원이 되었고,
그의 당선을 위해 기사역을 자처하던 김관홍 잠수사는
어느날 비닐하우스에서 시신으로 발견된다.
국과수에서 부검한다 하나, 이미 '국립'은 '거짓'과 동격이다.
국과수에서 이미 '유병언' 시신 확인 같은 전력이 남아서다.
남들은 눈물짓고
분노하고
하염없이 아파하고
좌절할 때,
땅끝에서
아니 심해 밑바닥 캄캄한 곳에서
작가는 진실을 '모시고 나온다.'
세월호는 침몰하고 끝난 것이 아니다.
이제 시작이다.
반드시 그 비밀들을 밝혀야 하고,
배울점은 배워야 한다.
타산지석으로 삼아야 한다.
표지를 벗기고 읽다가,
다 읽고 나서 표지 안쪽을 보고 눈물이 핑 돌았다.
표지 안쪽에
작가 소개는 그저 '소설가'이며,
'동거차도에서' 찍은 옆모습만이 남아있다.
맹골수도, 동거차도, 진도의 팽목항...
그 한 많은 한 시대가 이 책에 오롯이 살아남아
펄펄 불타오르고 있다.
아무리 깊은 심해라도,
불타오르는 분노는 원한을 갚기위해 다시 불타오를 것이다.
책읽는 사람이라면,
반드시 읽어야할 소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