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두근두근 내 인생
김애란 지음 / 창비 / 2011년 6월
평점 :
강동원, 송혜교 영화로도 유명한 책인데,
마침 아이들 국어 교과서에도 실려 있어 일부분을 읽은 참에
전체 소설을 읽었다.
아름이의 투병과 방송 이야기를 중심으로 알고 있었는데,
전체를 읽다 보니
이 소설의 문체가 참 아름답다...는 생각이 들었다.
웃기는 자식이 되고 싶다던 아름이의 말 외에도,
참 아름답다고 생각된 구절들이 많다.
시인과 소설가는 스타일이 조금 다른 거 같다.
시인은 자기 내면을 끝없이 들여파는
삽질의 대가 같고
소설가는 남들의 삶을 끝없이 관찰하는
관찰의 대가인 듯...
자신의 내면을 관찰하는 거나
남들의 삶을 들이 파는 거나
비슷해 보이지만,
시인의 공사가 개인적인 반면
소설가의 공사는 정치적이 되기 쉽다.. 정도?
김애란은 그러니깐,
남들의 이야기를 쓰는데
개인의 관점이 마구 틈입하는
뭐, 그런 소설인데
언어가 참 예쁘다.
누군가가 다른 사람을 사랑할 때,
그 사랑을 알아보는 기준이 있어요.
그건 그 사람이 도망치려 한다는 거예요.(143)
가을 추, 물결 파, 가을 물결...
'예쁘구나, 너 예쁜 단어였구나...'
그런데 이성의 관심을 끌기 위해 보내는 눈빛을 추파라고 하다니
하고많은 말 중에 왜?
'가을 다음엔 바로 겨울이니까.'
불모와 가사의 계절이 코앞이니까.
가을이야말로 추파가 다급해 지는 시절이라고...
나는 오래전 추라를 추파라 부르기로 결정한 사람들을 떠올리며 가만 웃었다.
아, 만권의 책을 읽어도,
천수의 삶을 누려도,
인간이 끝끝내 멈출 수 없는 것이 추파겠구나.(196)
현미경으로 찍은 눈 결정 모양도 봤어요?
그럼.
나는 그게 참 이상했는데.
뭐가?
뭐하러 그렇게 아름답나.(287)
그런 뒤 물뱀처럼 허리를 꺾어 어디론가 재빠르게 달아난다.
앞으로 나는 어떻게 될까.(324)
이름도 아름다운 열일곱의 여든살 아름이의 죽음을 어떻게 그릴까 했는데,
물뱀처럼 허리를 꺾어 재빠르게 달아나는 형상을 보여준다.
말도 예쁘고,
소설도 예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