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갈팡질팡하다가 내 이럴 줄 알았지
이기호 지음 / 문학동네 / 2006년 10월
평점 :
이기호의 소설집.
'갈팡질팡하다가~' 소설집의 제목이 되기도 한 소설에서는,
운도 없게 길거리에서 줘 터지는 아이가 나온다.
경찰서로 가면 늘 진술서를 쓰게 마련.
맞는 사람은 '왜'가 없다.
그건 원래 처음부터 이유란 게 없었던 일이었거든.
근데 어떡하든 서류를 작성해야 해.
그러니 어떡해?
그때부터 이유란 게 생길 수밖에...
뭐, 사는 것도 다 똑같지만..;(282)
그래. 삶은 원래 그런 거다.
이기호가 삶을 대하는 시선이 그렇다.
그래서 '정치적으로 올바른' 운운하는 김형철의 해설은 웃기는 나발인 거다.
요즘 뉴스에서 '구조조정'이 필요하다는 이야기를 들으면,
과연 '정치적으로 올바른'이 세상에 있는가를 묻게 된다.
없다. 그 따위는 없다.
이유란 게 없었던 거다.
그냥 조정해서 짤라버리고 싶은 거다.
우연을 대하는 각자의 자세...가 있다.
우연이란, 지배해야 마땅한 어떤 영토 같은 것으로 배워왔다.
그러나 나는 그 논리가 버거워~(268)
자신의 작법을 이렇게 설명한다.
그래서 그는 '나쁜 소설'을 쓴다.
메타 소설이라고나 할까.
'할머니~'도 마찬가지다.
그것들은 소설에 대한 소설이고, 이야기에 대한 이야기다.
결국, 이야기를 대하는 각자의 자세가 있을 뿐이지,
지배적인, 그리고 정치적으로 올바른 논리따위는 애초에 없는 것이다.
작가의 그런 의도가 마음에 쏙 든다.
그래서 소설 속 인물들은 자신만의 세계에도 부끄럽지 않다.
나는 걸어가면서
정확히 열한 걸음 간격으로 서있을 뿐인 플라타너스 나무들에게
일일이 하이파이브를 해주었다.(124)
여기 네 친구 방바닥하고 인사 나누렴,
저런 방바닥이 어깨가 없네.
그럼 네가 방바닥에게 어깨동무를 해주고,
자, 치이즈~(104)
남자는 자신이 껴안고 있던 국기게양대 굴곡에
눈을 감고 입을 맞추었다.
조심스럽게.
고개까지 사십오 도로 기울이고.(174)
나무와, 방바닥과 국기게양대와 사랑에 빠지는 사람들.
뭣이 이렇게 말도 안 되냐고 할 수 없다.
시봉과 진만이처럼 덜떨어진 인간이 어디 있냐고 물을 수도 없다.
그럼,
가난한 사람들의 나라 발전를 위해서
가난한 사람들을 짤라야 하겠다는 건 말이 되냐고 되묻고 싶어 지니까.
그런 인간들보다는
플라타너스가
방바닥이
국기게양대 굴곡이 더 섹시하고 아름다우니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