빨간 기와 3 마음이 자라는 나무 37
차오원쉬엔 지음, 전수정 옮김 / 새움 / 2005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누군가 그랬다.
'교육'이란 말이 잘못되었다고...
'가르쳐 기르는' 것이 아니라, 아이들이 자라는 것을 보는 일이어야 한다고...

그래서 <교육자>, <교사>보다는 <선생>이 더 적절한 어휘라고.
'가르쳐 기르는 이, 올바른 길을 가르치는 이'의 역할보다는, '먼저난 이일 뿐'인 동등한 입장.
그러나 선배이기에 후배의 길을 바라보는 것이다. 사랑과 인내를 가지고...

문화 혁명기, 중국의 청소년들의 성장을 담은 소설이다.
고등학생용 우리말 우리글에 수록되어 많은 학교에서 구입해 둔 듯한데,
문화 혁명이 한국 청소년들에겐 생소하기 그지없을 것이라 생각한다.

특히 제3권은 고교생으로서의 <하이틴>으로서, 이성에 눈뜨는 소년들의 모습을 잘 그리고 있다.
그 하이틴들은 성공적으로 성장하기보다는, 씁쓸한 눈물을 머금고 쓰러진다.
가난과 적은 기회로 인하여 평탄한 교육의 기회를 갖지 못하는 아이들.
인습과 현실 사이에서 인격을 빼앗긴 아이들...

그러나, 그들은 쓰러지면서도 자란다.
가난도, 인습도, 시골이란 환경도 그들에겐 척박하지만 성장의 토양이 되는 것이다.
60년대 성장했다면 지금은 환갑을 바라볼 연배가 되었을 것이다.

그들에게 문화 혁명기는 어떤 빛깔일까?
중학생처럼 얼치기 청소년기의 빨간 기와와,
고등학생의 단맛, 쓴맛을 좀 아는 까만 기와의 추억은...

나의 학창 시절이 쓴맛 중심으로 기억나지만, 간혹 아스라하게 떠오르기도 하는 것은,
그 척박한 토양이 나를 성장하게 했기 때문이리라.

지금 한국의 학교가 가지고 있는 한계. 부조리 속에서도 아이들은 성장한다.
훨씬 강도가 높은 <학대형 학교>에서 아이들은 신음하지만, 때론 밝게 웃고, 때론 울부짖는다.
졸업식 날, 교복을 찢고 밀가루를 뿌려대는 아이들에게 난 솔직히 욕하지 못한다.
오히려, 그래, 이렇게라도 퍼포먼스를 통해 너희를 드러내는 게 오리혀 자연스럽다...란 생각이 든다.

난 건전하지 못한 사고를 가진 교사임에 분명하다.
사회가 요구하는 중립적인 선을 지키지 못하고,
늘 갈팡질팡 줄타기를 하다가 휘딱 뒤집어지고 만다.
교생 실습때부터 수업 시간에 조는 아이들이 불쌍하단 생각이 들더니,
아이들의 저항이 오히려 아름답게 보인다.
난 또 안다. 나처럼 얼치기로 저희들을 이해하는 체 하는 교사가, 그 아이들에겐 더욱 힘들다는 것을.
다른 시간엔 잘 수도 있는데, 난 저희를 재우지도 않는 악랄한 교사라는 것을.

아아, 임빙이 학교에서 느끼는 달콤 쌉싸롬하고 싱그러우면서도 뒷맛이 씁쓸한 하이틴의 감정들을 미각으로 후각으로 가득 느낀 오늘 밤엔, 보름달이라도 화안하게 비친다면 눈물이 쏟아질 것 같다.

새까매서 오히려 좋을 수도 있는, 그믐날 까만 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