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날이야기처럼 재미있는 곰브리치 세계사 2
에른스트 H. 곰브리치 지음, 이내금 옮김 / 자작나무(송학) / 2005년 2월
평점 :
절판


이 책의 제목은 <옛날이야기처럼 재미있는 곰브리치 세계사>다.

일리가 있기도 하고, 없기도 하다.

옛날이야기처럼 재미있는.... 에서, 곰브리치가 잘 쓴 면이 드러난다.
"대부분의 사물은 전문용어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총명한 아이라면 누구라도 이해할 수 있도록 단순한 단어로 설명될 수 있어야 한다"는 그의 주장은 전적으로 옳다.

한국의 많은 교과서들이 너무도 어려운 단어들의 나열, 개념의 집합들로 이뤄져 있다는 사실을 교사들은 안다. 그렇지만, 또한 초중고 교과서가 제대로 위계가 잡혀있지 않다는 것도 알고 있다.
그래서 초등때 불필요한 것들을 숱하게 배우고, 중딩때는 더더욱 많이 배운다.
그런 불필요한 지식에 대한 주입식 교육이 이뤄지는 기관이 각종 <사교육 기관, 학원>이다.
그런 기관을 위해 존재하는 구조가 바로 각종 <경시 대회>와 <급수 시험>인 것이다.

초등학교에서는 석차가 존재하지 않는다. 중학교에서도 과목별 석차만 존재한다.
이것은 매달 수십 만원을 투자하는 부모 입장에서 본다면, 상당히 불안한 투자다.
인풋이 있으면 아웃풋이 있어야 하는데, 이놈의 자식 교육이란 기제에는 인풋만 있고 아웃풋이 도통 없는 것이다.

유치원 시절만 해도, 완전 까막눈이던 아이가 한글을 깨치는 것으로도 부모는 만족한다. 아니 자기 아이가 천재가 아닐까 하면서 기뻐한다.
그러나 유치원 교육부터 아이에게 <네 옆에 있는 그 애보다더> <더 나은 인간>, <더 가치있는 인간>이 되기를 바라는 부모의 눈에는 내 아이가 어떤 수준인지 가늠하고 싶은 욕구로 가득하게 되는 것이다.

그래서 우리 아이들은 날마다 학원 봉고에 오른다. 해저물녘 놀이터에서 "밥먹어라"고 불러야 할 어머니의 목소리는 어디에도 없다.

한국의 교육은 <낱말> 주입 교육이다. 특히 암기과목으로 인식되는 사회, 국사, 지리, 과학... 이런 것들은 완전 <낱말> 주입식이다. 그래서 낱말이 많이 주입되어있지 않은 아이의 경우, 완전 곤란한 지경을 만나게 된다.

역사가 왜 중요한지, 지리는 왜 일찍부터 발달했는지, 사회 과목에 비해 역사, 지리가 왜 필요했던 것인지를 생각하게 만들지 않는다. 사회나 역사나 지리는 몽땅 암기과목일 따름이다.
인간은 시간과 공간에 의해 정의되는 존재였다. 그래서 시간에 따른 역사와 공간에 따른 지리에 관심이 많을 수밖에 없었다. 사회가 강조되는 것은 근대 이후, 식민지 시대 이후의 사조다. 특히 미국같은 인종의 샐러드 보울에서나 통용되는 그런 것.

중세를 별이 빛나는 밤으로,
피렌체에서 빛나던 르네상스 시대를 맑고 청명한 아침으로 옮길 수 있는 저자의 시선은 탁월한 점이 있다.

그렇지만, 이 세계사는 어디까지나 유럽 대륙에서 태어난 그의 손자, 손녀들에게나 유효한 세계사일 따름이다. 그의 세계에 반만년 역사를 가진 한반도는 포함되지 않았고, 검은 대륙 아프리카도 지중해 일대의 일부만 세계에 편입되었을 따름이다.

세계사를 객관적으로 기술할 수 있는 방법은 없다.
단지, 세계에서 일어난 일을 단편적으로 나열하는 방법은 있을 수 있어도...
모든 나라를 객관적으로 바라볼 수 없는 것은, 저자가 모든 나라에서 태어날 수 없기 때문이다.
그 '나라', '국가'라는 개념 자체가 얼마나 근대적 가치를 함유하고 있는 것인지를 생각한다면, 시오노 나나미처럼 <로마의 역사>에 붙잡힌 시선이 훨씬 신선해 보인다.
<십팔사략>을 읽으면서 <중화>에 대해 생각해 보는 것도 좋은 방법이리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