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주역의 발견 - 상수와 의리가 무너진 주역의 본질
문용직 지음 / 부키 / 2007년 3월
평점 :
품절
해체란 무엇인가.
기존의 권위있는 읽기와 멀어져서 체험과 이해로 텍스트를 읽는 것.
곧 이해의 인식론을 요구받는 것.
삶을 주제로 질문과 답을 찾아야 한다는 그런 해석학적 요청.(328)
알파고와 이세돌이 5판 두어 4판을 기계가 이겼다.
당연하다. 한 판 이긴 것도 굉장하다.
가능성을 발견하면서 계속 빠른 계산을 해야하는 반복이 바둑인데,
처음에는 인간도 가능하지만, 시간이 지나면 집중력이 떨어지는 것이 당연지사다.
바둑두는 사람이 왜 주역에 관심을 가졌을까?
미생이라는 만화에서 바둑이 하나의 '필터' 역할을 했듯,
주역 역시 삶에 대한 '필터'였기 때문이겠지.
그런데 여느 사람들이라면, 주역에 대하여 현대식 해석을 한두마디 붙이고 말겠지만,
역시 '바둑의 발견'의 저자인 만큼, 주역에 대하여 권위를 차치하고,
갈가리 분석한다.
배우고 믿으며 시작하는 것과 전혀 다른 해석학이다.
인간이란 무엇인가,
그런 의문에 대한 답을 주려고 하기보다,
인간 사이의 관계를 어떻게 구성해야 정의로운 사회가 이루어질 것이냐,
에 댛나 답을 주된 관심사로 삼음으로써 주역은 인간의 본성에 대한 의문으로부터 멀어질 수 있었고,
그 가치는 결코 가볍게 평가될 수 없다.(342)
견강부회.
주역만큼 이 말이 부합한 책도 없을 것이다.
도대체 왜 그런데 주역을 읽는가.
세계는 인과론적 연결원리에 의해 만들어진 것도 아니다.
여기서 '공시적'이라는 개념이 생기는데,
직선적, 인과론적 원리가 부정되는 '해체'의 시기에 재조명될 책이 주역이다.
프로이트의 인과론이 20세기에 극찬을 받았다면,
새 시대에는 아들러의 '미움받을 용기'가 우위에 서기도 하는 셈이다.
연역적으로 따지고 캐내어 결론을 얻을 수 없는 인생이기에,
표의문자인 한자의 세계에서
주제가 모호한 역설의 <모습 象>과 <숫자 數>로 삶의 변화 이치를 따지려 든 것이 주역이다.
당신이 점을 치고자 할 때 과연 질문을 잘 만들 자신이 있는가?
답은 무엇보다 질문의 한계 속에서만 의미를 갖기 때문이다.(362)
좋은 말이다.
불교에서 화두를 안고 수련을 하듯,
올바른 질문 앞에서는 마른 똥 막대기도, 뜰앞의 잣나무도 모두 이치에 가까운 '형상'일 수 있는 법.
역경을 읽게 되면 세상을 변화의 시각에서 이해하는 버릇이 몸에 배게 된다.
그것이 철학적 안목을 가져다 줄 것.(270)
여기서 철학이라 함은, 세상을 보는 안목의 필터 구실을 하는 무언가가 생긴다는 말이렷다.
그래서 공자가 위편삼절 하며 보던 책이고,
오십이 되어 이제야 천명을 알겠다 하던 것이다.
역경은 바로 이러한 환유와 은유의 배열을 통해 우리의 인식을 넓혀 준다.
점사는 독립적이기에 환유와 은유의 힘은 더욱 크다.(262)
은유는 이해에, 환유는 주의를 끄는 것오 좀더 활용의 초점이 있다.(261)
여러가지 '전'들은 '설명'을 하려 드는 것이다.
삶을 설명하지 못할 경지도 많다.
그래서 '경'은 힘이 세다.
음양 오행은 사물을 범주화하고, 그 사물간의 관계로 세상의 변화를 설명하는 하나의 가설이지만,
역경은 세상을 범주화해서 재현할 뿐이다. 점서다.
이론도 가설도 주장도 아니다.(229)
해석학적 읽기는 자의적이다.
고정된 해석만 존재하지 않는다.
논리학에서 볼 때,
전제가 허위이면 그 다음부터 추론되는 모든 명제는 참이다.
본래 역경의 괘는 아무 의미도 없는데,
그 무의미한 체계에서 의미있는 체계로 본다면,
참과 거짓을 검증할 수 없는 체계를 바탕으로 나오는 모든 명제는 '참'이 되는 것.(219)
점쟁이한테 인과관계를 묻지 않듯, 주역 역시 그러하다.
연역적인 방식으로 64괘의 변화를 탐색하려는 노력은 주역을 연구하는 모든 사람들의 희망이자 믿음이었다.
나는 그것이 틀렸다고 보고 이 책을 쓰고 있다.(176)
괘와 괘 사이의 관계를 다양하게 탐구한 역사가 있다.
착종, 교호... 등등
한 마디로 '견강부회'일 수도 있다는 것.
그러면 도대체 주역을 왜 읽는가.
세상은 이분되어야만 이해된다.
차이를 인식한다는 것.
변화에 대한 이해를 가진다는 것.
변화란 이것에서 저것으로 나아가는 것.(96)
결국 주역은 '과정'과 '변화'를 응시하는 책이라는 것.
굳어져버린 도그마로서의 '경'과 '전'이 아니라,
세상을 은유와 환유로 빗대보려는 '상'과 '설명'의 책.
작가가 주역의 의미를 분석하려한 틀 자체가 수학의 원리든,
논리학적 분석이든, 그것이 중요한 것은 아니다.
다만, 새로운 해석의 관점을 보여주려 노력한 것은 높이 살 만하다.
주역을 줄줄 외우고 꿰뚫고 있지 않은 일반인인 나에게는,
읽기에 무리인 설명들도 많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