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를 절대로 탓하지 마라 - 사춘기 편
아케하시 다이지 지음, 김경인 옮김 / 프리미엄북스 / 2005년 4월
평점 :
절판


청소년들은 인간이 아닌 <청개구리>라서 <청>소년이라고 부른다는 우스갯소리가 있다.

그만큼 사춘기에 겪는 갈등은 혼란스럽기만 하다.

기성세대가 보기에 그 갈등은 별것 아닌 우스운 것으로 보이기도 하고,
자기 할 일을 하기 싫어 핑곗거리를 대는 데 불과해 보이기도 한다.

그렇지만, 그 아이들의 문제 행동엔 반드시 문제가 되는 원인이 있었고,
그것을 제대로 해결해 나가지 못한다면 사회 문제화 되기까지 하는 청소년 문제를 감당할 수 없을 것이다.

이 책은 사춘기 아이들의 마음이 왜 혼란으로 가득한지, 원인부터 대책까지 쉽게 설명한 책이다.
어려운 심리학 용어도 등장하지 않으며,
사례 중심으로 서술되어 있어서 일반인들도 쉽게 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반면 전문적인 상담이나 청소년 문제를 살펴 보기엔 조금 간략한 감이 없지 않지만,
청소년 문제에 대한 핵심은 모두 짚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정신과 의사이기도 한 저자는 청소년들의 문제를 <자기 평가의 극단적인 저하>라고 본다.
그로 인해 벌어지는 온갖 몸부림을 통하여 아이들은 자기의 문제를 표출한다.
그렇지만, 어른들은 그것을 야단치기에 급급하지, 그 원인을 따지거나 해결책을 모색하지는 못한다.

아이들의 마음의 성장에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은 아이의 리듬대로 응석을 부렸다가 반항도 했다가 하는,
<의존과 자립의 반복>을 존중해 주는 것이란다. 이것은 방치가 아니다. 너무 방치하면 비행으로 내닫고, 자립심을 억압당하면 히키코모리(구석방 폐인)이 되기 쉽다.

아이들뿐 아니라 어른들도 마찬가지다. 응석을 받아주는 단계에서 실패하면, 그는 <의존>적 인간이 되기 쉽다. 알콜 중독, 과식증, 도박중독, 쇼핑중독, 일중독, 연애중독, 스토커, 도벽, 인터넷 중독...
그러나 문제는 아무리 의존하고 중독이 되어도 안심감이나 만족감을 얻을 수 없다는 것.
그 이유는 원래 의존해야 할 대상에 의존하지 못하고 엉뚱한 데 의존하기 때문이란다. 일리가 있다.
응석은 타인에 대한 신뢰와 배려를 키워주는 중요한 요소다.

그렇다고 조용히 앉아서 공부만 하는 사람이라고 해서 문제가 없는 것은 아니다.
사춘기에 전혀 반항을 하지 않는 경우, 사실은 더 걱정이다. 자기 욕구를 표출할 기회를 놓치기 때문.
나중에 어떤 형태로 문제를 표출시킬지 알 수 없다.

이에 사춘기 아이들을 둔 부모들이 할 수 있는 일은,
부모의 리듬에 아이들을 맞춰서는 안 된다. 아이들의 리듬에 맞춰,
아이들이 의존과 자립 사이를 왔다 갔다 하는 그 모습에 '동조'해 주는 것이라고 한다.
동조란 적극적인 동의가 아닌, 수동적인 동의다.
아 그렇니? 아 그랬구나. 기분이 나쁘겠네? 이런 반영적 경청이 아주 필요한 것이다.

상담 공부를 하면서, 이런 책을 읽는 것은, 아이들을 예쁘게 보는 눈을 틔우는 것 같아 좋다.
내 눈에 좀 커져서, 아이들의 모습이 다양한 각도에서 보일 지도 모른다는 착각을 하게 되는 기분 좋은 책.

청개구리띠 아이들을 집안에 두신 부모님이라면 한번쯤 읽어볼 만한 책.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