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물에서 하늘 보기 - 황현산의 시 이야기
황현산 지음 / 삼인 / 2015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그동안 가난했으나 행복한 가정이었는데,

널 보내니 가난만 남았구나.

 

이 책을 읽고 나서도 오래오래 가슴에 남는 마음아픈 말이다.

 

산문은 이 세계를 쓸고 닦고 수선한다.

그렇게 이 세계를 모시고 저 세계로 간다.

그것은 시의 방법이 아니다.

시가 보기에 쓸고 닦아야 할 삶이 이 세상에는 없다.

시는 이를 갈고 이 세계를 깨뜨려 저 세계를 본다.

시가 아름답다는 것은 무정하다는 것이다.(271)

 

이 책의 마무리가 이러하다.

시를 필터로 삼아 세상을 읽는 일은 무정하다.

 

산문은 세상을 설명하려 든다.

어떻게든 세상을 포획하려 애쓴다.

시는 이 세계를 깨뜨리는 언어.

무정한 당신을 하염없이 사랑할 수밖에 없는 존재는 인간.

 

각 이야기 꼭지의 첫 표지에는 얼룽얼룽 비치는 물빛 그림자 사이로

이야기가 드러내는 핵심 구절들이 적혀 있다.

단 한 페이지 빼고.

그 페이지는 새까만 깜장의 세계다.

황현산의 마음이 아마도... 그렇게 새까맣게 탔을 것이다.

어느 누구나와 마찬가지로.

 

조선시대의 노비가 양반 상놈이 없는 세상을 본다면 그것은 벌써 착란이며,

나무 위에 허공이 있으니 그 나무가 꽃을 피워 올릴 것이라고 말하는 사람은 벌써 투시자다.

허공은 모든 것이 가능한 자리이며,

다른 세상이란 저 허공과 같지 않은가.

꽃나무는 여기 있지만 꽃이 필 자리는 저 허공이 아닌가.(39)

 

김탁환의 '허균, 최후의 19일'을 읽고 있다.

그는 착란을 본 사람들 중 하나였다.

허공을 포착하는 투시자.

그들이 시인이다.

 

오늘 새벽 한 시대를 풍미하였던 김영삼 전 대통령이 사망했다.

김일성 수령과 정상회담을 성사시켰다면... 아마도 그가 노벨평화상 수상자가 되었을지도 모른다.

대교가 절단나고, 백화점이 무너지고,

외환위기까지 왔던 것은 꼭 그의 잘못만은 아니다.

3당 합당을 통하여 대통령이 되었기에 할 수 있는 일도 있었을 것이다.

이제 김영삼 만큼의 리더십도 없는 자들이 그 지분 나누기에 급급하다.

이렇게 한 시대는 가고 있다.

 

시대가 흐르고 있는데,

우리는 무엇을 보아야 할 것인가.

우물 안에서 바라보는 세상은,

때로 맑고 때로 어둡다.

 

내일 날씨가 어떠할지...

참으로 예측하기 힘든 소견을 가진 사람이라는 겸허한 표현이지만,

그나마 이런 어른이라도 옆에 있어야 한다.

어른이 없는 세상은 그야말로 두려운 세상이기 때문이다.

 

 

 

고칠 곳...

 

16. '광야'는 3행으로 된 시가 5연으로 짜여 있다.

그리고 각 연은 윗변이 아랫변의 절반쯤 되는 사다리꼴 모양이로 적혔다.

그렇게 연 구분을 해줘야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