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원 1 - 요석 그리고 원효
김선우 지음 / 민음사 / 2015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도 세자

 

미쳐서 아버지 영조가 궐마당에서 뒤주에 넣어 죽게됨.

 

원효

 

자유분방한 땡중이라 유학은 안 가고 해골물 마시고 도통한 뒤, 요석궁 앞 연못에 빠져서 어찌어찌 설총을 낳음.

 

 

이렇게 일방적인 주장을 역사적 사실이라 알면서 살아왔는데,

영화 '사도'와 설민석의 책, 그리고 이덕일의 책을 읽으면서,

'실록'과 '사도의 아내, 혜경궁 홍씨의 한중록'의 주장이 편견임을 공부하면서

<역사의 관점>이라는 것이 얼마나 함부로 굴려서는 안 되는 것인지를 깨닫는 요즘이다.

 

원효 역시 그랬다.

이 소설은 김선우의 원효에 대한 오마주지만

김선우가 그리고자 했던 것은

하대 신라의 여왕 시대가 끝나던 시점,

태종무열왕 김춘추 시대의 '호국 불교'가 가진 관점과

인간의 해방에 대한 원효의 사상이 대립하는 지점에서의 사태를 묘사하려는 것이었다.

 

마지막에 덧붙인 강신주의 해제가 더 애절했다.

원효와 의상에 대한 '송고승전'의 기술에서는 의상의 여자 선묘에 대한 이야기가 주인데,

호국불교의 이념으로 기술한 일연의 '원효'에서 그는 바람둥이이자 괴짜로 묘사되는 것이다.

 

역사라는 것은 이렇게 자기가 쓰고 싶어하는 면을 쓰는 <사관>에 따라 천차만별이 되는 것이다.

객관적인 역사 서술을 하는 일은 그래서 힘들지만,

편협된 권력자의 역사 서술을 하려는 시도는 또한 인류의 삶과 함께 꾸준히 지속될 것 같다.

작금의 역사교과서 사태 역시 그런 것이다.

 

이 소설은 하대 신라의 불교 문화를 통해,

세상은 가진 자들이 부귀영화 독점을 지속하기 위해 파괴적으로 세상을 바라보는 관점과,

못가진자들의 마음이 평안을 위한 종교의 문제와 파괴적 전쟁의 피해를 바라보는 관점이 대립하는 지점을 그린다.

 

겉보기에는 원효와 요석의 사랑을 그럴싸하게 낭만적으로 그리지만,

의상과 원효만큼이나 다른 황룡사와 분황사,

귀족들의 사고방식과 민중의 사고방식,

이런 것들을 '아미타림'이라는 공동체를 통해 형상화하고 있다.

 

결국 '호국불교'로서의 화엄종과, 원효의 아미타 사상의 정토종, 쉬운 불교가 어떤 지점에서 근본적으로 다른지를

소설을 통해 실감나게 표현하고 있다.

 

권력자의 편에서 미워할 만한 대척점에 선 원효를

기록에서 바람둥이로 묘사한 것은 어쩌면 당연한 일이다.

자기들이 가지지 못한 것을 가진 자에 대한 압박은 권력자의 치사한 역사다.

 

누가 내게 자루없는 도끼를 주겠는가,

나는 하늘을 떠받치는 기둥을 찍어 내리라.

 

이런 시구절을 요석과 바람나고 싶은 땡중의 요설이라고 해석해서 소문내는 자들은,

전두환의 수천 억원(지금 시가로는 수십 조가 될 액수)는 모르쇠 하면서

노무현의 몇 억원에는 침튀기며 욕을 퍼붓는 자들의 심보와 같은 것이다.

 

원효는 누군가 자루 없는 도끼를 주면 그걸로 하늘을 지탱하는 기둥을 자르겠다고 노래.

동양 전통에서 자루는 권력을 상징.

즉, 자루없는 도끼, 몰가부는 권력자 없는 권력, 권력 아닌 권력, 최소한의 권력이다.

이것으로 하늘을 떠받치는 기둥을 베어버리겠다고 한다.

곧 혁명을 뜻하는 것.(2권, 304)

 

역사 교과서야 어찌 되었든 올바르게 가르치면 되지 않겠냐는 순진한 발언도 있다.

그러나, 역사 교과서를 통합한다는 것은,

다른 가르침을 불허하고 억압하겠다는 강한 의지를 함유한 언사인 셈이다.

 

원효를 혁명가로 서술하지 않고,

구멍 찾는 바람둥이로 기술하는 것은 혁명에 대한 의지를 가리려는 쇠항아리의 해석이었던 셈이다.

 

한동안 역사를 찾아 읽어야 할 모양이다.

 

'나라없는 나라'를 읽고 있는데,

거기도 짙은 노론의 그림자가 민비와 함께 드리운다.

 

아, <노론 300년>도 찾아 읽어야 할 모양이다.

이덕일의 <사도세자가 꿈꾼 나라>와 함께...

 

 

 

고칠 곳 하나...

 

요석이 퀭한 눈으로 별궁의 대들보를 손으로 쓰다듬었다.

보슬비에 촉촉이 젖은 대들보에 한동안 이마를 대고 있던 요석이 말했다.(175)

 

대들보는... 아주 높은 곳에 있다. 거기 이마를 대고 있거나... 손으로 쓸어 보기에는... 요석이 거인증이라면 몰라도~ 문설주 정도가 아니었나 싶다. 김선우가 생각했던 것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