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선인들의 공부법
박희병 엮어 옮김 / 창비 / 1998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어제 불꽃놀이를 본다고 제법 걸었더니 발이 아파서 잘 걷지를 못하겠다.
몸이 이렇게 시원찮다. 운동 부족이기도 하겠지만, 난 어려서부터 운동에는 젬병이었다.
누구나 잘 하는 것이 있고, 못 하는 것이 있겠지만, 나에게 몸을 놀리는 것은 힘쓰는 것이나, 재주를 부리는 것이나, 균형을 잡는 것이나 어렵기는 마찬가지다.
그렇지만, 책읽고 혼자 놀기는 내게 가장 쉬운 일이었다.
장승순가 하는 청년이 나는 공부가 제일 쉬웠다는 책을 썼더랬는데, 모르는 사람들은 비웃을 것이다.
나도 아직도 고스톱보다 책 읽기가 쉽다.
작년까지 대학원을 어쩌다가 다녔는데, 계속 공부하고 싶은 생각은 굴뚝같지만, 대학이란 사회에 몸담고 있지 않다는 사실에 대해서 안도하게 된 계기가 되었다. 교수들은 공부를 하는 게 아니라, 학문에 전념하는 게 아니라 갖가지 외압에 적당히 춤추는 일이었음을 확인했기 때문이었다.
지금도 날마다 책 읽기가 취미인 내게 이 책에서 주워들은 이야기들은 많은 생각할 거리를 던져 준다.
나 개인적으로나, 교사직을 가진 직업인으로서나,
취미로 하는 독서이기도 하고, 전공을 공부하는 전문직의 일종이기도한 독서에 대해서...
이런 책의 단점이라면, 지나치게 나열만 해 두어서, 공부를 하기 전의 청소년들에게는 별로 도움이 되지 않을 것이란 점. 좀 아쉬움이 남는다.
공자
공부는 특별한 것이 아니요. 일상생활 속에서 즐거운 마음가짐으로 죽을 때까지 해나가는 것.
공부의 즐거움.
옛날의 학자들은 자신을 위한 학문을 했는데, 지금의 학자들은 남을 위한 학문을 한다.
장자
공부하는 사람은 뜻이 작거나 기가 가벼워서는 안된다.
뜻이 작으면 쉽게 만족하고, 쉽게 만족하면 발전이 없다.
또 기가 가벼우면 모르는 것을 아는 체하고, 배우지 않은 것을 배운 체한다.
정자
오늘날의 공부하는 사람은 산등성이를 오르는 것과 같아서
산 아래의 구불구불한 길에서는 활보를 하다가도 높은 곳에 이르면 물러선다.
암기 위주의 공부와 박식을 추구하는 공부는 물건을 갖고 노는 것과 같아 본심을 잃게 만든다.
한국 입시 교육의 문제점
주자
학문하는 것은 비유컨대 집을 짓는 것과 같다. 모름지기 먼저 몸체를 세우고, 그 다음에 속으로 들어가 벽을 만들어 견고하게 해야한다. 지금 사람들은 대부분 집을 크게 지을 줄 모르고 조그만 방이나 지으려 하기 때문에 일을 이루지 못한다.
공부는 선약을 구울 때처럼... 뜸을 들이듯이 해야한다. 많이 읽기를 탐하고 빨리 읽고자 해서는 안되며, 푹 익기를 기다려야 한다. 공부는 푹 익은 데서 나오는 것이다.
왕양명
학문은 깨우쳐 주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깨우쳐 주는 것은 스스로 깨닫는 것보다는 못하다. 스스로 깨닫는 것은 일당백(一當百)의 공부가 된다. 스스로 깨닫지 못한다면 아무리 깨우쳐 주어도 잘 안된다.
퇴계
학문은 거울을 닦듯이. 처음에는 표시나지 않지만, 꾸준히 하면 발전.
조식
그대는 물을 거슬러 올라가는 배를 보지 못했는가? 잠시라도 방심하면 멀리 떠내려가고 만다.
학문하는 방법은 다른 것이 없다. 놓아버린 마음을 되찾는 것일 뿐(맹자)
홍대용
오늘날은 비록 학문을 좋아하는 사람이라 할지라도 일년 내내 부지런히 힘쓰는 건 글줄이나 찾든가 이것저것 참조하여 고증하는 일에 불과하다. 차라리 실천은 그만둘지언정 오직 글을 널리 읽지 못할까하는 것만 걱정하고, 차라리 마음을 닦는 공부는 날로 황폐해질망정 오직 저술을 많이 못할까 하는 것만 걱정한다. 이런 까닭에 옛날의 학자는 책이 없는 것이 걱정이었고, 지금의 학자는 책이 너무 많아 걱정이다. 옛날에는 책이 없었는데도 훌륭하고 어진이가 배출되었지만, 지금은 책이 많은데도 인재가 날로 줄어드니, 이는 혹 고금의 운세가 서로 다르기 때문일까? 실은 책이 많은 까닭에 이런 결과가 초래되었다.
고요히 앉는 것은 공부를 진전시키는 데에 가장 큰 힘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