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먼 자들의 도시
주제 사라마구 지음, 정영목 옮김 / 해냄 / 2002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사실 이름이 우리에게 무슨 의미가 있을까,

개는 이름을 가지고 다른 개를 인식하는 것도 아니고,

다른 개들의 의름을 외우고 다니는 것도 아니잖아,

개는 냄새로 자신의 정체를 드러내고 또 상대방이 누군지도 확인하지,

여기 있는 우리도 색다른 종자의 개들과 같아.(85쪽)

 

독서토론대회 도서로 이 책이 선정되었고,

논제는 <집단을 위한 이익은 개인의 이익에 우선한다>이다.

 

아이들이 오늘은 전체적으로 자유롭게 이야기를 나누는 자리를 마련했는데,

다양한 이야기들이 등장했다.

 

우선 '눈먼 자들'과 '그들의 도시'가 상징하는 알레고리에 대하여...

그리고 눈멀지 않은 '의사의 아내'의 존재.

 

국가가 행하는 공익이라는 이름의 <정치>는 사회적인 합의이므로 가변적이라는 것.

거기에는 반드시 '정의'라는 <눈뜬 자들의 개입>이 들어가서 개인의 인격을 침해하지 말아야 한다는 것.

 

이 소설 내에서 물음표가 없는 문장들과,

이름이 없는 존재들의 세상.


이름도 눈뜬 자들에게나 구별의 표식으로 필요하다는 것도 새로운 깨달음이었고,

<모든 이름들 - 이름없는 자들의 도시>에서도

이름 없는 존재들의 미미함에 대하여 등장하듯,

주제의 관심은 이 풍진 세상 한 가운데 있다.

 

차라리 보지 말 것을...

 

차라리 눈 멀어 보지 못한다면 이렇게 속상하지 않았으려나...

이런 일이 흔한 세상이다.

 

뉴스도 보기 싫고,

페이스 북의 소식도 듣기 싫다.

의문의 죽음(유병언이나, 이번 국정원 사태나) 앞에서는

쏜살같이 <물음표 없음>의 확실한 결과가 공표된다.

물음표 없어야 함! 의 억지 주장이 참 가관이다.

프랑스의 사회학자 랑시에르가 <정치적인 것의 가장자리에서>로 말하는 것도 이런 것일 게다.

폴리스와 폴리티크...

 

‘치안(police)’과 ‘정치(la politique)’를 구별하는 일에서 출발한다.

‘치안’이란 쉽게 말해 통치행위 일반을 의미한다.

치안은 어떤 자리나 기능을 분배하거나, 혹은 몫의 분할과 관련된 행위들을 수행한다.

나아가 그런 분배나 분할에 대한 구성원들의 합의를 이끌어내고,

이를 통해 체제를 유지하고 정당화하는 행위가 바로 치안의 기능이다.

그리고 이러한 치안의 기능에 대립되는 개념으로 랑시에르가 소환하는 것이 바로 ‘정치’다.

치안의 체제는 제 목소리를 내지 못하는 자들,

제 모습을 드러낼 수 없는 자들을 끊임없이 만들어낸다.

랑시에르에게 정치란 이와 같은 치안의 작동을 교란시키는 행위다.

 

아마 눈먼 자들을 고립시키는 폭주자들의 횡포가 갈수록 추해져서 그럴 것이다.

토론 도중에 <설국 열차> 역시 마찬가지 알레고리라는 이야기도 등장했다.

 

집단 지성은 같은 책을 읽고도 눈 뜨게 만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