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한국현대사 - 1959-2014, 55년의 기록
유시민 지음 / 돌베개 / 2014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그래, 그게 인생인 거지

매일매일 똑같이 흘러가는 날들을

매일매일 의미 있게 만들어 가는 것.(가족끼리 왜 이래, 대사 중)

 

연속극의 한 구절인데,

유시민의 '현대사'를 읽으면서 든 느낌도 그런 것이었다.

 

요즘 한창 이슈 몰이중인 '불량 완구'에 얽힌 문제 역시,

부정 축재, 부동산 투기와 군대 기피, 권력에 편승...하는 사람들의 매일매일에 속한 삶들이었으므로,

총리가 되고 아니고를 떠나, 그 사람의 인생에 그만큼 부정적 요소가 작용해서 지금을 만든 것임을 여실히 보여주는 것이다.

 

표지에 스스로를 '프티 부르주아 리버럴'이라고 칭하며, 내용은 '위험한 현대사'라고 하였다.

그래. 유시민 정도 되면 중산층이라 일컬을 만도 하고, 자유주의자라는 말도 수긍이 간다.

그렇지만, 위험한 현대사라는 것은 가치 중립적이지 않아서 동의하기 어렵다.

 

하긴, 한국의 현대사는 <위험>하다.

그래서 이명박이 대통령기간에 <한국 근,현대사>라는 과목을 없애기 위해 애를 썼던 것이다.

 

유시민이 태어난 1959년부터 오늘날까지,

역사에서 기록할 만한 일들의 '의미'를 짚어보는 책이 이 책이다.

그러므로 이 책은 시간 순서대로 기록된 '통사'라기보다는

현대사의 의미를 되짚어 보는 '비교사'의 입장이 더 강하다.

 

전쟁 이후 정말 못입고 못먹던 1950년대와 배부른 소리로 일관하는 현대의 비교.

1970년대 산업 역군으로서 가난하면서도 '너희는 산업 역군이야, 잘 살아 보세' 하던 허위의식의 시대와

2000년대 막강한 경제력을 자랑하는 나라이면서도 또한 청소년 불행지수 최상위인 시대의 비교.

세월호의 원혼이 잠들기도 전에 '어묵' 비하 같은 인종과 같이 살아야 하는 현실이 되어버린 이유 등에 대한 고찰.

이런 것들이 비교적 객관적인 시선으로 기록되고 있다.

 

서중석의 '사진과 그림으로 보는 한국 현대사'는 많은 글자보다 정확한 사료를 제공하는 좋은 책이다.

그와 비하면, 유시민의 이 책은 그 사료들을 나름대로 소화하여 들려주는 이야기에 가깝다.

그리고 한때 정치의 일선에서 의료와 복지 계통관련 공부도 했던 사람이라, 국가의 미래에 대한 제언 역시 의미 있다.

 

역사가 중요하다고 떠드는 넘들은 한결같이 수구꼴통들이다.

그러면서 그넘들은 역사를 중립적이거나 진보적으로 기술하기보다는

객관적이라는 미명하에 날조하고 획책하려 든다.

자기들의 입장에 유리하도록 해놓고 열심히 주입하려는 넘들이다.

 

그러기에 이런 역사 인식에 대한 책들은 역사 객관에 대한 책들보다 유의미하다.

한국에서 객관적 역사책도 얼마 되지 않을 뿐더러,

사료들을 읽는다 해도 의미를 찾기 힘들 수도 있기 때문이다.

 

이익을 사유화하고

손실은 사회화하는 행동을

경제학 전문용어로 도덕적 해이라 한다.(157)

 

한국 경제의 딜레마인 재벌 조직의 문제점을 잘 짚고 있다.

쉽게 읽을 수 있는 교양서이면서 전문용어도 배울 수 있는 점은 이 책의 장점이다.

 

지구촌 문명국가들 가운데 우리와 같은 주민등록제도를 가진 나라는 거의 없다.

주민등록번호는 대한민국의 진화과정에 병영국가 시대가 있었다는 사실을 알려주는 화석이라 할 수 있다.(320)

 

이런 날카로운 지적들이 지식인이 할 일이다.

이제 오십이 훨씬 넘은 그가 돌아본 인생,

한국의 현대사는 그야말로 '질곡(수갑과 족쇄)'의 종합선물세트였다.

그가 돌아보며

"그래, 그게 인생인 거지..."

한 마디 한 것이 이 책이다.

그가 더 행복한 기분으로 이런 책을 십 년 뒤에 내 줄 수 있다면 좋겠다.

아니면, <뒤돌아 보며>나 <강철 군화>처럼 상상 소설을 써주는 일도 좋겠다.

 

 

이런 유의미한 책이지만 몇 가지 불만이 있어 토를 달고자 한다.

 

우선, 경제 지표를 설명하는 자료에서 '1인당국민소득'과 '국민총생산'이라는 개념이 뒤섞여 쓰인다.

'1인당국민소득'을 GDP라고 쓰기도 하고(46쪽), 명목소득, 국민총생산 등과 기준없이 쓰는 경향이 있다.

소득의 증가 비율을 설명하려는 의도는 이해가 가지만, 명색이 경제학 전공이라는 사람이 그러면 안 된다.

 

둘째, '욕망'과 '욕구'를 뒤섞어 쓰는 것도 잘못이다.

매슬로의 이론은 '욕구 이론'이다.

굳이 라깡을 들먹이지 않더라도, 매슬로의 '욕구 위계설'을 '욕망'으로 치환하는 것은 곤란하다.

 

라캉은 욕구, 요구, 욕망을 설명하면서,

욕구(need)생물학적 욕구

요구(demand)사랑의 요구,

욕망(desire)타자의 욕망으로 규정한다. 

 

그가 객관적 서술을 하고 싶어하는 욕망을 품고 있다는 것은 책 전반에서 읽을 수 있으나,

다음 구절에는 동의할 수 없다.

 

한국전쟁 이후 대한민국은

권위와 힘을 가진 지배층이 존재하지 않는 '그라운드 제로' 사회였다.(60)

 

이 말은 한편 옳고 상당히 그르다.

한편 옳다는 것은 이전의 '왕조'와 '양반'의 봉건 사회가 회복되지는 않았다는 면에서 그렇다.

상당히 그른 것은, 이전의 양반과 친일 부역자들의 힘이 그대로,

하나도 삭감되지 않고(이것을 제로라고 한다면 그러하다.) 유지된 것이 대한민국이란 나라다.

그라운드 제로였다면 가난한 사람들은 게을러서 그렇다는 것이고,

잘 사는 사람들은 부지런했고 창의성이 있었다는 긍정적 표현이다.

이것은 '이승만'을 건국의 아버지로 여기는 뉴라이트의 주장에 근접하다.

 

헌법 전문에 분명히 밝힌 '임시정부의 법통'을 부정하는 '그라운드 제로' 운운은

해방 이전과 분단 이전의 분투에 대하여 부정하는 입장인 것이다.

 

그리고 또 하나, 이승만을 지칭할 때 '박사'라는 호칭을 뒤섞어 쓴다. 이것은 지독한 편파다.

이명박이야말로 이름과 걸맞는 지독한 '명(예) 박(사)' 아니던가?

그냥 이승만이거나, 대통령이라고 불러야 한다. 박사는 개나 물어가야 할 호칭이다.

 

 

이 책을 쓰는 동안

담배도 많이 피웠을 것이고,

눈물도 많이 흘렸을 것이다.

마음이 저려 잠 못이룬 밤도 많을 것이고,

책을 쓴다는 일에 회의를 느껴 흐느낀 밤도 숱했을 것이다.

 

그래서 이런 책은 소중하다.

한국 현대사에 소중한 작업 하나를 더 얹어주어 고맙다.

그는 이렇게 대중 작가, 인기 작가로 더 어울린다.

또 세상이 흐르면 정치판에 흘러들는지도 모르지만,

차근차근 공력을 쌓아 더 좋은 책을 보여주길 바란다.

아직까지 그의 최고의 책은 <거꾸로 읽는 세계사>가 아닐까?

 

한홍구 같은 이에게 <거꾸로 읽는 한국사>는 맡겨두고,

<한국 현대사 산책> 시리즈 같은 작업일랑은 강준만에게 맡겨두고,

그는 그야말로 <역사 노변 정담> 같은 이야기들을 엮어 들려주기 바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