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 - 나의 동양고전 독법
신영복 지음 / 돌베개 / 2004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신영복 선생님의 글을 처음 접한 것이 ‘감옥으로부터의 사색’이었다. 1968년 통혁당 사건으로 무기징역형을 받은 후 20년 만에 출소하게 된다. ~~사색은 독재 시절의 장기수들의 생활을 알려준, 치가 떨리는 육성 증언이었다.


  이 ‘강의’는 감옥에서 이루어지는 길고도 깊은, 그러나 단속적인 독서를 통한 저자의 사색을, 대학 강의와 어울려 적은 글이다. 그 내용에 들어가는 고전들은 시경, 주역, 논어, 맹자, 노자, 장자, 묵자, 순자, 법가 등인데, 각 고전에 따른 독법을 나름대로 이끌고 있는 매력이 있다.


1. 왜 온고지신인가?

  온고지신. 옛것에서 새로운 것을 알아내려는 자세는 동양의 학문적 전통이었던 것 같다. 그런데, 저자는 21세기 담론에서처럼, 미래를 무조건 희망적이고 새로운 긍정적인 무엇인가가 다가올 것처럼 여기는 것을 경계하는 사람이다. 마찬가지로 고전을 읽는데 있어서도 나름의 <관점>을 가지고 읽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저자는 단순한 온고지신을 뛰어 넘어 <온고창신>해야 한다고 역설한다. 옛것을 배워 새로운 것의 창조로 나아가야 한다는 발전적 논의라고 볼 수 있다.

  근대 이후 세계를 지배해온 서양의 패권적, 자본 중심의 ‘존재론’이 몰아온 폐해를 지적하고, 우리 고전에서 공유하고 싶은 이야기들을 모아 ‘관계론’을 중심으로 <오래된 과거 속에서 짚어볼 수 있는 창의적 미래>를 이야기하고 싶었던 것이다.


2. 소라 껍데기로 보는 고전의 나선

  올 여름 방학을 고전을 읽는 방학으로 보냈다. 여러 가지를 체계적으로 섭렵할 수 없었던 아쉬움이 남는다. 노자, 주역, 중용 등을 손에 잡히는 대로 읽은 것은 나름대로 손익이 있었다. 이익은 내 나름대로 읽는 관점들이 생길 수 있다는 것이고, 손해는 체계적으로 읽지 못했다는 것이다. 미리 이 책을 읽었다 한들 뾰족한 체계를 갖추는 것은 어려웠을 것이지만.

  몇 권의 고전을 읽고 다시 본 ‘강의’는 참신했다. 대학 강의 내용이어서 한계가 있었지만, 고전의 다이제스트로서 충분히 가치있는 책이라고 볼 수 있다.

  이 책을 고전을 시작하는 입문서로 활용한다면, 개론서로서는 충분히 가치로운 책이란 생각이 든다. 대학 1학년 때쯤, 내가 이런 책을 읽을 수 있었다면 지금쯤 좀더 동양철학에 가까워졌을 수 있었을 것인지... 아니면 역시나 마르크시즘에 경도된 책들밖에 읽지 못했을 것인지...

  고전을 공부하는데 순서가 있을 수 없다. 진리의 바다를 찾는데 지름길이 없듯이... 쉬운 책도 있을 수 없고, 먼저 읽어야 할 책이 있을 수도 없다. 예전엔 한자의 난이도에 따라서 커리큘럼을 짰다지만, 요즘처럼 번역이 많이 이뤄진 시대엔 나름대로 취향에 맞게 취사선택할 수도 있을 것 같다.

  다만, 고전을 접하면서 드는 생각은, 고전을 몇 글자 안다고 해서 아는 체 할 수는 없다는 것이다. 고전의 독법은 마치 소라 껍데기를 타고 오르는 나선과 같이 조금씩 진실에 다가갈 수 있다는 느낌으로 읽는 것이 아닐까 한다.

  그 구절에 얽매이지 말고, 내용을 이해하는 것에서 벗어나서, 현대적 관점에서 나와 연관짓고 우리 사회와 연관짓고 나아가 글로벌 시대의 세계와 관련지어 성찰적 관점을 세우는 것이 신영복 선생님께서 제시하는 동양 고전의 독법이다.

  금강경에 나오는 강을 건너는 비유를 오늘 아침에 읽었는데, 이 글의 마무리에서도 다시 그 이야기를 만난다. 강을 건너면 뗏목을 버려라... 뗏목에 얽매이지 말고... 중요한 것은 강을 건너는 것이지, 뗏목을 짊어지고 다니면서 뗏목 자랑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3. 백가 쟁명, 수많은 담론의 시대 - 그 존재론과 관계론 사이에서...

  운동 경기를 마치고 나면 남는 것은 경기의 승패가 아닌 동료들의 우정이고, 학업이 끝나고 나면 남는 것은 수업 내용이 아닌 교사와 학생의 <관계>이고, 어부에게 있어서 남는 것은 고기가 아닌 <그물>이라고 했다. 이 책은 고기에 대한 이야기를 넘어서 그물에 관한 철학을 하려고 했다.

  물론 말말말...의 시대였던 만큼 각 고전에서 대표적인 구절들에 대한 설명만으로도 이 책의 가치는 충분하다 할 수 있겠으나, 이 강의가 가지는 진정한 가치는 그 고전과 다른 논리의 차이점, 그리고 고전이 현대의 삶에 미칠 수 있는 영향력을 <관계론>이란 주제로 밝혀보려 한 데 있다고 하겠다.


  궁하면 변하고 변하면 통하고 통하면 오래간다는 변화의 관계망, 주역.

  사회 변동기, 인간에 대한 이해를 총합한 논어의 관계론적 해석.

  공자의 개인적 ‘인’을 사회적 관계로 규정한 맹자의 ‘의’의 인간관계 원리.

  비유의 바다로 민초의 전략전술이자 정치학인 동양 사상의 정수, 노자.

  뛰어난 문학적 표현으로 책은 옛사람들의 찌꺼기임을 이야기 형식에 담은 우화, 장자.

  노동 계급을 대표하던 검소한 실천집단 묵가의 반전 평화론.

  유가의 ‘자기 수양’의 틀을 벗어나 ‘사회 참여’로 나아가는 법치 교육학, 순자.

  변화된 현실에서 인의의 정치 주장하는 것을 수주대토로 여기는 법가, 한비자.


  그 내용을 읽는 것만으로도 벅차 보이는 동양 철학서들은 나를 주눅들게 하기도 하지만, 이제 신역복 선생님의 이 강의를 좇아 가장 낮지만 지향해야할 지점인 고전의 <바다>로 닻을 올린 것을 즐겁게 생각한다. 쑥풀 우거져 앞뒤를 분간하기 어려운 숲속에서 나와 나란히 걸어가는 친구를 만난 느낌이랄까...


4. 대로를 향하는 하나의 ‘골목’이기를 자처하는 <강의>

  책의 말미에 불교와 신유학에 대한 아쉬움을 실어 두었지만, 사실 그 강의만으로도 다른 책 한 권이 될 법한 내용이기에, 나는 ‘강의 2’가 나오기를 기대해 본다. 지난 겨울부터 관심을 갖고 보던 불교 서적들과 복잡하기만 해서 도저히 이해할 수 없었던 신유학에 대해 다시 강의를 듣고 싶은 희망에서...

  신영복 선생님의 강의를 들으면서, 막연하기만 하던 고전의 우주에 이제 몇 개의 점이나마 찍힌 듯한 느낌을 받는다. 읽는 동안에는 점 사이의 희미한 선이 보이는 듯 하기도 하다.

  건강하게 오래 살기를 추구하는 인간들에게 사실상 가장 중요한 것은 평안한 <정신 건강>이라고 할 수 있다. 선생님의 말씀대로 고전을 통해 읽을 수 있는 동양적 삶의 궁극적 가치가 <인성의 고양>이라면, 군중 속에서 고독한 현대인이 놓치기 쉬운 정신 건강을 ‘인간 관계와 사회, 역사’의 관계론 속에서 궁극적으로 찾아가는 바다로의 여행길에 고전과 함께 할 수도 있을 것 같다. 그런 희망을 갖는다.

  고전을 읽는 것이 이렇게 가치로울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발을 두고 탁본을 찾으러 집으로 향하는 어리석은 사람처럼, 다시 문제는 <현실>, <지금>, <여기>이며, 나와 우리 사회로 귀결되는 것이다. 여기에 온고 지신이 온고 창신으로 다시 나야할 필요성이 있는 것이고, 훌륭한 저서임에도 불구하고 선생님은 ‘대로를 향하는 하나의 <골목>’이기를 자처하시는 것일게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