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다 - 김영하의 인사이트 아웃사이트 김영하 산문 삼부작
김영하 지음 / 문학동네 / 2014년 9월
평점 :
절판


제목 참 성의없다... 했다.

그런데 에필로그에 가니, 앞으로 '읽다'와 '말하다'를 더 펴낼 생각이라나.

 

부제는 '김영하의 인사이트, 아웃사이트'로 달았다.

이렇게 영어를 쓸 때는, 적어도 그렇게 쓴 이유를 토를 달아 주어야 한다는 게 내 생각이다.

김영하라는 소설을 소비하는 계층은 지식인 상위 몇 %의 독자들이 아니라 대중이라고 본다면,

이 책 역시 대중에게 보여주는 '통찰, 외부사물에 대한 관찰'의 힘이라는 뜻을 전달하기 위한

우리말을 진지하게 찾아봐주는 역할을 해 주었어야... 번역도 하신다는 이의 글이 아닐까 싶다.

 

이 책을 읽으면서... 그의 문제 제기에 대하여 공감하는 한편, 뭔가 찜찜한 불편함이 스멀스멀 피어 올랐다.

그것은... 그가 <본다>고 한 대상이 주로 '영화'라는 프리즘을 통해 바라본 세상이었고,

그렇게 세상을 보고 있는데 그 세상은 보편적인 인간 세상이기도 하고,

대책없이 질주하는 자본의 대한민국 세상이기도 한데,

왜, 그의 <보다> 속에는 이토록 현실 감각이 덜할까...는 의구심이 계속 들었던 것인데,

이것 역시 에필로그에서 '천안함, 세월호, 용산'등을 외국에서 바라보았다고... 변명을 했다.

 

'힐링 캠프'에 나올 정도로 유명한 작가라면...

이 시점에서 <보다>인 대상이 '영화'보다 더 리얼한 '현실'이었다면... 하고 바라는 것은,

삐딱하게 박힌 내 시선 때문이라 치자.

 

'나였던 그 아이는 어디 있을까?'라는 네루다의 시구가 적힌 ...

그 어린아이는 영원히 우리 안에 있다.

성장은 끝나지 않는다. 모든 비극과 희극이 여기에서 시작된다.(81)

 

김영하를 보고 있노라면... <아웃사이트(관찰력 정도인 듯 한데, 정확히 어떤 의미인지 모르겠다.)>보다는 <아웃사이더>가 아닌가 싶다.

포스트 모던 시대의 시니컬한 시선을 작품으로 엮어내는...

하루키의 아류라는 생각이...

성장하는 어린아이가 아닌... 성장이 멈춰버린 어린아이가 아닌가 하는...

 

언제든 멈출 수 있는 책과는 달리 영화는 어쩐지 한번 지나가면 돌이킬 수 없는 현실처럼 느껴진다.

그것은 마치 모스크바행 기차처럼 무지막지하게 달려온다.(131)

 

톨스토이에게 '기차'라는 근대 문물의 상징은 조선의 이광수에게도 이어진다.

김영하가 영화제의 도시 부산에 살고 있는지는 모르겠으나,

그가 '산문집'이란 명목으로 '비참한 현실을 바라보지 않는 아웃사이더의 시선'으로 이런 책을 내는 데 대하여

그러면서 영화를 소재로 이런저런 삶의 이야기를 엮어대는 글솜씨에 대하여...

이 책에 대하여 심히 시대를 정면으로 바라보는 '통찰력'이 부족한 책이란 생각이 무지 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