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자가 노자를 이야기한다
임어당 / 자작나무 / 1998년 6월
평점 :
절판


몇 년 전에 노자를 읽었던 적이 있다. 대학 시절 사 두었던 책으로 읽었고, 도올의 노자와 21세기를 읽었다.

대학 시절 샀던 책의 노자는 세로쓰기 책인데, 도무지 무슨 말인지 알아 들을 수가 없어서 다 읽었던지도 기억이 나지 않는다. 삼사 년 전에 도올의 노자를 읽었는데 왕삐가 대단하다는 이야기가 잔뜩 적혀 있고, 자기 잘났다는 이야기만 가득했다. 우리 나라의 석학(?)인 도올의 그릇이 뻔히 보이는 아쉬운 책이었다. 그래도 그 책에선 나름대로 여러가지 이야기들을 읽어댔던 거 같다.

요즈음 이경숙의 도덕경의 도경을 쓰고 풀면서 읽고 있는데, 그런 와중에 이 책을 읽으니 정말 이해가 잘 된다. 아, 이래서 노자의 사상을 노장 사상이라고 한 거구나... 하고 깨달음이 오는 책.

노자의 텍스트를 고증하고 풀이하고, 서로 비교하고, 남들을 비판하다보면 우리같은 일반인으로서는 노자가 뭐라고 했는지는 머릿속에 남지 않고, 노자는 해석이 골때리는 책이라는 선입견만 생기기 쉬운 것 같다.

내가 읽은 두 권의 글들이 그러했듯이.

이 책에는 각 장의 처음에 노자의 한 대목이 인용되고, 같은 주제를 다루고 있는 장자의 소품들을 뒤에 수록하고 있다. 그야말로 장자로 읽는 노자 공부가 되겠다.

노자의 사상은 장자에 와서 그 오묘한 구절들이 파급 효과를 얻게 되었으리라는 것도 짐작으로 미루어 볼 수 있다. 아직 멋도 모르고 읽은 내 나름의 결론이지만.

어차피 학문으로 고전을 읽는 것도 아닌 나로서는 노자에 나오는 말인지, 장자에 나오는 말인지는 모르겠지만, 노자의 뜬구름 잡는 듯한 <명제>들을 장자의 형상화된 <문학>으로 읽게 되어 반갑기 그지 없다.

역시 중국사람 임어당 같은 분 아니면, 우리나라에선 만나보기 어려운 책이 아닐까 한다.

이 책에서 밑줄을 긋고 싶은 욕망을 짓누르며, 백지에 옮겨 적었던 구절들을 옮겨 본다.

재산이 없는 것을 가난하다 하고,
배웠는데도 행하지 못하는 것을 병이라 한다...
세상에 영합하면서 행동하고,
친한자와 붕당을 지어서 사귀고,
남에게 내세우기 위해 학문을 하고,
자기 자신을 위해 남을 가르치고,
인의를 빙자해 나쁜짓을 하고,
수레나 말을 장식하는 짓을 나는 차마 못하겠습니다.... (이거, 나를 두고 비꼬는 소리같다.-.ㅠ)

그들은 삶을 사마귀나 혹이 붙어있는 것으로 생각하고,
죽음을 부스럼이나 종기가 터져버린 것으로 생각한다.(일체 유심조 인 것을...)

도을 잃고난 뒤에 덕이 출현하고,
덕을 잃고난 뒤에 인이 생기고,
인을 잃고난 뒤에 의가 나타났으며,
의를 잃고난 뒤에 예가 크게 일어났다.(예절을 앞세우는 시대는 말세고, 의인을 숭상하는 시대는 난세며, 인자를 필요로하는 시대는 탁한 시대고, 덕이 높은 이를 필요로 하던 시대는 부덕한 시대였구나...)

최고의 완성품은 마치 모자란 듯 하지만, 아무리 써도 닳지 않는다.
가장 알찬 것은 마치 비어있는 듯 하지만, 아무리 써도 끝이 없다.
가장 곧은 것은 마치 굽은 것 같으며,
최고의 기교는 마치 졸렬한 듯하며,
최고의 웅변은 마치 어눌한 것과 같다.
고요함은 움직이는 것을 이기고,
차가움은 뜨거운 것을 이기고,
맑고 고요함은 천하를 올바르게 한다.

기계란,
쓰면 기교를 필요로 하는 일이 있게 되고,
기교를 필요로 하는 일이 있게 되면, 반드시 기교를 쓰는 마음이 있게 되고,
기교를 쓰는 마음이 가슴 속에 있게 되면, 순백의 마음이 갖취지지 않게 되고,
순백의 마음이 갖춰지지 않으면, 정신의 활동이 안정되질 못하며,
정신의 활동이 안정되지 않으면, 도를 담을 수가 없다.
나는 그 기계를 모르는 것이 아니라, 부끄러워서 쓰지 않는다. (아, 나는 내가 운전 잘한다고 얼마나 잘난 체 하는 인간이었던가. 운전을 하면서 남을 위태로움에 빠지게 하고, 정신을 핸들에 빼앗겨 버리며, 툭하면 성질을 부리는 사람이 되어 버리지 않았나. 부끄러워서 쓰지 않아야 할 그 기계에 대해서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