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름다운 새벽
마해송 지음 / 문학과지성사 / 2000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어린 시절, 유신의 칼바람이 불던 시절에 <고전 읽기>라는 이름으로 국민들의 독서조차 획일화시키려 했던 적이 있었다. 초록색 짙은 표지에 아주 당시로서는 파격적인 싼 값으로 도서를 보급하였다.

그 책의 면면을 내가 다 알 수는 없지만, 내가 3학년이던 때, 우리 학년의 도서는 이솝이야기, 한국 창작 동화집, 고전 동화집, 그리스 로마 신화 이런 것이었다. 누나의 6학년은 이율곡, 이순신, 이런 전기류였던 것 같다.

의무적으로 책을 다 샀기 때문에 집집마다 짙은 초록색의 이 책은 넘쳐났다.

독재 정권의 의도는 여러 가지였겠지만, 그중 정권의 유지가 가장 큰 목적이라 군인들의 전기가 불필요할 정도로 많이 교과서에 수록되고 팔렸겠지만, 내가 읽은 많은 이야기들은 이 시절의 이야기 밭에서 유래한 것이 많다.

모든 일에는 이처럼 긍정적인 면과 부정적인 면이 있는 듯 하다. 고전읽기 사업이란 획일적 독서 사업이 평생의 독서에 지침을 줄 수도 있고, 평생의 세계관을 삐뚤게 만들 수도 있는 일이니 말이다.

그 한국 창작 동화집 가운데 내가 가장 감명 깊에 읽었던 이야기가 바로 이 마해송 선생님의 '바위나리와 아기별'이었다.

마해송 선생님의 이야기는 참 솔직하다. 어찌 보면 자서전인 이 글은, 김구 선생의 자서전 백범 일지가 비장한 투쟁의 일대기였던 것과는 달리, 꿈과 같이 아련한 어린 시절부터 잦았던 연애 사건, 일본에서의 출판 사업, 전쟁의 체험까지를 가감없는 문체로 담백하게 서술하신다. 이런 것이 글의 힘이라 할 만하다.

그분의 삶은 특별한 그것은 아니었다. 어려서부터 샤먼에 세계에 가까이 살면서 성장한 여느 어른의 삶이었고, 동경으로 유학가서 신여성과 만나게 되는 것 들도 당시 지식인들의 삶의 한 면이었다.

객지에서 폐병을 얻더 사나토리움(sanatorium, 결핵 요양원)에서 있었던 일화는 마치 꽁트를 읽는 듯한 유쾌함마저 묻어나는 글이다.

전쟁을 겪으면서 밥 짓는 아이들이 권세를 얻은 홍위병 마냥 인민 재판에 참여하는 과정은 생동감이 넘치다 못해 내가 다 소름이 끼칠 정도였다. 사실 그 시대의 모습을 이렇게 간명하게 증언하는 책들은 흔하지 않다.

자욱한 안개에 덮인 거리를 엷은 햇살은 걷어 헤치는 것같이 차츰 지붕들이 드러나 보이기 시작하는... 아름다운 새벽... 그는 천주교로 귀의하면서 책을 마친다.

삶에서 첫 경험은 중요하다더니 정말 그런가 보다. 어린 시절 동화집에서 각인된 마해송 선생의 이름은 나를 그분의 글의 흐름에 마치 잘 알던 어른의 젊은 시절 이야기를 듣는 것처럼 친근하게 여기게 했던 것이고, 그래서 부드럽게 그분의 비굴하지 않으려던 곧은 선비 정신을 새삼 느끼고 있는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