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은 학교의 힘 - 아이의 학력, 인성, 재능을 키워주는
박찬영 지음 / 시공사 / 2014년 3월
평점 :
품절


한국 학교는 아이들을 살리는 곳이 아니다.

다만, 아이들이 그 안에서 살아가고 있을 뿐.

이 책에선 작은 학교가 거대 학교에 비해 어떤 점이 좋은지를 고민하고 있다.

 

작은 학교는 보통 시골 학교이다.

시골 학교에서 몇몇 아이들이 대도시 아이들을 꺾고 큰 대회에서 상을 휩쓰는 사례를 보고,

작은 학교가 거대 학교보다 낫다고 판단하는 것은 성급한 일반화다.

그러나, 이 책에서는 작은 학교의 장점들을 충분히 많이 나열하고 있다.

 

나도 이전에는 한 학년이 10학급~15학급인 대도시 학교에 근무했다.

같은 학년을 데리고 올라가지 않는 한, 아이들 이름 외우는 일은 언감생심, 무망한 일이었다.

그런데 지금 한 학년 5학급의 소규모 학교로 오니,

아이들 얼굴과 이름이 쉽게 외워지는 장점도 있다.

 

학력 면이나, 인성 면이나, 작은 규모의 학교가 인간적인 교육을 할 수 있다.

저자는 자연과 환경이 어우러진 학교까지 욕심을 내지만,

그건 힘들더라도, 일단 대도시 거대 학교부터 작은 학교로 나누는 일이 필요하다.

아무리 좋은 점이 많다고 역설해도, 교육부가 내는 정책은 '고육'지책일 경우가 많으니...

이론은 이론일 뿐이겠지만...

 

교육은 학생의 발전을 도모하는 일이다.

발전 속도가 빠른 아이들을 위한 커리큘럼 만들기는 쉽다.

지금한국은 이 속도전에만 불을 켜고 있다.

 

교육부가 뒤늦게 뒷북으로, 성취평가제나 선행학습 금지라고 외쳐봐도,

그걸 듣는 학부모는 없다.

기다려주는 교육을 하자는 것인데,

이미 이 사회는 '경쟁' 일변도의 사회임에랴...

 

학교 폭력과

학원에서의 사교육과,

경쟁의 억압에서 시달리는 학생들을 구하는 길은...

찾자고 들면 많다.

 

그러나,

내 새끼 입에 따순 밥 들어가기만 바라는 이기심으로는,

아무리 좋은 해결책도 내팽개치게 된다.

 

예수님께서 그러셨다.

귀가 있는 사람은 알아 들으라고...

 

자식을 시골학교로 전학보내는 일도 해결책은 아니다.

초등학교, 중학교는 어찌어찌 홈스쿨링이든, 대안학교든 별차이 없을 수 있으나,

고등학교와 대학 진학 문제는 아이의 진로와 밀접한 관련을 짓게 되니 말이다.

 

작은 학교는 힘이 있다.

큰 학교는 힘이 없다.

그러나... 교육부는 정작 '교육력 제고'에는 무관심하다.

아이들만 '디태치먼트(무관심)'에 버려진 게 아니다.

이미... 일반계 고등학교들도... 디태치먼트의 혼란 속에 빠진 지 오래다.

그 무섭다는 중학생 역시 마찬가지...

 

이런 책을 읽고 힘이 나야하는데, 더 기운이 빠지니... 나도 늙었나보다.


댓글(4)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14-03-24 19:39   URL
비밀 댓글입니다.

글샘 2014-03-25 08:1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찻잔, 찻종지, 찻주전자... 웃기죠?
사이시옷을 받쳐 썼다는 것은, 둘 중의 하나는 우리말이라는 의미인데...
잔(盞)은 한자임이 분명하니...
차를 우리말로 '생각했음'이 또한 분명하네요. 한자로는 '다도, 다기' 등으로 쓰고,
우리말로 찻물, 찻집 등으로 쓴다고 생각한 거 같습니다.
국립국어원의 표준국어 대사전에도 茶盞이라고 한자로 병기한 걸로 보아, 좀 애매한 규정이긴 하지요.
전셋방도 웃기는 짬뽕이긴 매한가지이구요. ㅋㅋ

2014-03-24 23:46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4-03-25 17:40   URL
비밀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