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으로 희한한 세상이다.

 

영화 변호인이 개봉한 지 3주도 안 되어 천만에 육박하는 관객이 몰려들었다.

영화가 동원한 게 아니다.

관객이 쇄도한 것이다.

그 불쾌한 영화를 보러 관객들이 왜 몰려갔을까?

 

방송국이 무시무시하게 많이 늘었다.

조중동도 텔레비전 방송에 마구 나온다.

이런 시대를 거슬러, 대자보가 유행이다.

언론의 자유가 없는 시대의 반영이다.

 

정봉주 전 의원이 반인반깔의 본성을 드러내고 전국구 팟 캐스트를 열었다.

가카가 감옥에 갈때까지 하겠다고... 너무 겁을 줘서 국가 기관에서 대선에 조금 간을 쳤는데,

감옥까지 보내 놨는데, 다시 민영화 등의 이슈를 이야기해준다니 다행이다.

그런데, 이 무서운 시대엔 라디오가 대세구나.

 

아직도 익숙하지 않은 박통이 신년 방송을 탔다.

그간 옷이나 많이 샀지 뭘 했나 모르겠는데,

무지 암기해서 잘 지나간 모양이다.

불행했던 1년은 지나가고, 이제 행복한 3년을 보장한단다.

가카를 믿어야겠지?

행복하게 해준다니...

 

아는 사람은 안다.

안녕하지 못한 사람들은 안다.

왜 사람들이 불편한 마음으로 변호인을 보고 잠못드는 밤을 보내는지...

왜 다시 대자보의 시대, 라디오의 시대로 회귀했는지...

왜 기자앞 발표가 그리도 매끄럽게 자~알 마무리 되었는지...

각자의 자리에서 곱씹는다.

 

 

 

 

 

 

 

 

 

 

 

 

 

영화를 보는 내내

대학 시절로 돌아가 두려웠다.

폭력 고문 경찰들은 반성하지 않고 당당하게 가스총을 든 '보수단체 회원'이 된다.

그래서 시국 미사 신부님을 겁박한다.

<정규직 국가 기관>의 폭력에서 <비정규직 알바 어버이 연합>의 폭력으로 무늬만 바꿨다.

삶이 참으로 버겁다.

 

영화 내용 중, 바위를 계란으로 치는 대사가 있다.

저들은 바위가 아니다.

그보다는  이육사 시인의 '절정'의 한대목이 어울린다.

 

겨울은 강철로 된 무지갠가 보다.

 

일제강점기의 '절정'에 쓴 시.

절정 다음은? 결말이 온다. 아무리 절정이 혹독해도 결말은 온다.

그리고 혹독한 겨울은 스러지게 되어있다.

무지개처럼...

비록 지금은 강철로 된 무지개처럼 강고해 보일지라도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